조선 관직과 품계
正一品官: 대군(大君), (君=正一品부터 從二品까지 있음) 공신(功臣) 및 왕비의 아버지는 부원군(府院君)이다.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도제조(都提調=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사부(師傅) -세자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우의정이 경임하는 관직임) 위(尉) -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一품 혹은 종一품을 제수한다.) 감사(監事) -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從一品官: 군(君), 위(尉), 좌찬성(左贊成), 우찬성(右贊成), 판사(判事), 제학(提學=규장각의 관직), 사부(師傅=세손 강서원의 관직) 正二品官: 군(君), 위(尉=옹주에게 장가든 자에게 처음 제수한다), 좌참찬(左參贊), 우참찬(右參贊), 판서(判書), 대제학(大提學), 지사(知事), 판교(判校=규장..
참고자료·용어해설
2022. 1. 28. 2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