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의 병해충 방제 원예작물학 / 농산물품질관리사자격증
2015.12.01. 02:44
(1)생리 장해
생리장해과 | 피해 증상 및 발생조건 | 예방 및 방제법 |
열과 | 열매 꼭지를 중심으로 동심원 상태나 방사성 상태로 불규칙하게 착색기에 있는 열매의 껍질이 터지는 현상이다. 품종에 따라 다르나, 공중 습도가 높을때나 흙속의 수분이 급격히 변할 때 일어나기 쉽다. | 송풍기에 의한 강제환기로 공중습도를 낮추고 밤온도를 약간 높여 과실 내의 영양을 소모시킨다. 염화칼슘 0.3%용액을 과실에 뿌려준다 |
배꼽썩음과 | 생장점의 자람이 정지되고, 잎이 뒤틀리거나 꽃이 떨어진 흔적이 있는 배꼽부근이 검게 썩은 것처럼 된다. 칼슘 성분이 부족한 것이 원인이다. | 석회를 충분히 뿌려준다. 짚을 깔아주어 여름철에 흙속의 온도가 높아지지않도록한다. 0.3%염화칼슘을 1주일간격으로 2~3회뿌려준다 |
공동과 | 열매 속 젤리 상태의 물질이 꽉 차지 않고 일부가 비어있는 것을 말하는데 열매 모양이 모가나고, 빈약해 보이며 내부의 색깔이 좋지 않다. 일조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며, 기온이 높은 시기에 토마토톤을 많이 처리하였거나, 한 화방에 두번 이상뿌렸을때 발생하기 쉽다 | 햇빛을 잘 받도록하고, 밤에 너무 온도가 높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토마토톤을 처리할때 기상상태를 보아 농도를 조절하여 뿌린다. |
기형과 | 배꼽부분이 뾰족하게 돌출한 것으로부터 열매전체가 심하게 일그러진것까지 열매 모양이 기형적으로 자라는 것을 말한다 잘못된 착과제 처리, 낮은 온도, 질소질 거름성분의 과다, 습도가 높을때 발생한다. | 생육환경 개선 |
(2)토마토 병과 방제법
병명 | 피해증상 및 발생 조건 |
|
시들병 | 처음에 밑의 잎부터 시들어 노랗게 되고 점차 위의 잎으로 퍼져 올라간다. 병이 점자 심해지면 포기 전체가 노랗게 되어 시들며 갈색으로 말라죽는다. 피해 줄기를 갈라보면 도관부가 갈색으로 변해있다. 병원균은 종자와 땅 속에서 월동한 후 기온이 높으면 발생하며, 토양 선충, 토양의 염류, 습해 등에 의하여 뿌리가 상했을 때 잘걸린다. | 저항성이 강함 품종 고르기 종자 소독, 돌려짓기 껏꽂이, 접붙이 모종 심어 가꾸기 병든포기 뽑기, 토양 소독하기 |
풋 마름병 | 낮에 윗 잎이 시들고 아침과 저녁에는 다시 회복하기를 반복하다가 시드는 현상 피해 줄기를 잘라보면 도관부가 갈색으로 변해 있고 손으로 눌러보면 흰색의 즙이나옴 | 3년 이상 이어짓기를 하지 않은 밭에서 재배한다. 배수 철저히하기, 토양 소독 |
잿빛 곰팡이병 | 잎, 줄기, 과일등 포기 전체에 피해를 주는데 어린과일에 피해가 심하다 처음에 암갈색 수침상의 작은 병반이 생기고 점차 커지면서 물렁물렁하게 썩으며, 잿빛 곰팡이가 피는 것이 특징 병원균은 병든 포기나 땅 속에서 우러동한다. 습도가 높고 서늘할 때 발생하며 영양분이 부족할 때도 많이 나타난다. | 밀식 재배를 피하고 시설내에서는 환기를 절저히 하여 습도를 낮춘다. 포기 밑을 비닐로 멀칭하여 물방울에 의한 전염을 막는다 병든포기는 뽑아 없앤다. 발병 초기에 살균제를 1주일 간격으로 뿌린다. |
역병 | 더운물에 데친 것과 같은 암갈색 수침상의 병반이 잎에 생긴 후에 흑갈색 줄무늬로 변하면서 잎이 말라 죽다 과일에도 암갈색의 병반이 생기고 음푹하게 들어간다 벼에 걸린 포기나 토양 중에서 월동한 병원균이 전염원이 된다. 기온이 20전후이고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한다. | 육묘 때부터병든 포기를 골라내어 없앤다. |
생명창고를 이용한 친환경 토마토재배 (0) | 2016.08.04 |
---|---|
토마토 재배시 식물학적 특성과 환경 (0) | 2016.08.04 |
토마토 병충해 진단및 방제방법 (0) | 2016.06.26 |
토마토,참외 병충해 종류 (0) | 2016.06.26 |
Tomato[편집] (0) | 2016.06.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