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소독
콩 종자소독 방법
파종 전 반드시 종자를 소독한 후 파종해야 하는데, 종자1kg에 종자소독약
수화제1호(벤레이트티)나 수화제2호(호마이) 4~5g을 종자에 고루 묻도록 분의 소독한다.
또한 콩은 출아 후 약 1주일간(파종 후 10~14일 사이) 비둘기등 조류에 의해 큰 피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조류 기피제 처리 후 파종하면 조류의 피해방지와 동시 종자
소독의 효과도 볼 수 있다.
콩 종자소독 및 새 피해경감 적용약제 및 안전사용 기준
적용 약제 | 사용적기 | 사용량 | |
종자소독 | 베노람(수) | 파종전(분의) | 4g/종자kg |
〃 | 지오람(수) | 파종전(분의) | 5g/종자kg |
새피해경감 | 치람(종자처리 액상수화제) | 파종전 코팅 | 30㎖/종자kg |
마늘의 종자소독
종자소독은 벤레이트티를 분의 처리합니다
마늘 종구소독용 약제로 베노밀.티람(삼공베노람 등등) 수화제가등록되어 있습니다.
살균제는 되었구요,
디메토 유제는 마늘에 등록된 뿌리응애 약제입니다.
종구소독 시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뿌리응애 약제입니다.
구하시기가 어려우시다면 스미치온 유제가있습니다. 스미치온 유제도 뿌리응애 약제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살균제를 조제한 물 20리터 기준으로 스미치온 유제 20ml를 타서 함께
침지처리하시면 됩니다.
살균제 사용방법은 약제봉지에 자세히 써 있을 것이니 꼭 잘 읽어보시고, 사용하세요.
종자를 하루전 담그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지요 하지만 종자를 파종후 복토를 얇게 한후
다찌가렌을 후북히 적셔 주여도 좋은 방법이랍니다
.
또한 다찌가렌과 같은 살균제는 정량만 쓰는것 이 원칙임을 잊지 마셔야 합니다.
용량초과시 파종되어 나오는 모가 균에 걸린것같아도 잘못하면
전체 모를 망가트릴 수도 있답니다 [옮겨온글]
마늘 파종 (0) | 2014.09.07 |
---|---|
생리. 생태적 습성 (0) | 2014.09.07 |
씨마늘 준비 (0) | 2014.09.07 |
마늘 웃거름주기 (0) | 2014.09.01 |
[스크랩] 마늘재배법 (0) | 2013.09.0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