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軍의 소총 이렇게 만들어졌다

大韓民國 國土防衛

by 석천선생 2019. 1. 12. 04:16

본문

    


양낙규 기자의 디펜스클럽<1회> S&T모티브



방위산업의 모든 것을 알아보는 양낙규 군사전문기자의 '디펜스클럽' 첫 회가 방영됐다.

아버지 세대에 비해 체격이 더 좋아진 신세대 장병들에 비해 30년 전의 신체조건에 머물러 있는 한국군의 소총. 이런 문제점 때문에 장병들의 신체조건에 맞춰진 새로운 국산 소총이 올해부터 보급되기 시작했다. 우리 군의 대표적 총기들을 생산하는 방산기업 S&T모티브와 함께 국산 소총의 개발 역사와 개발과정을 짚어본다. 

한국군이 소총을 처음 만든 것은 6.25전쟁 이후다. 미군이 사용을 중단한 'M1 카빈'을 개량한 단발형 M1, 36연발형 M2를 만든 것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19724월에는 국방부 조병창(造兵廠)도 창설한다. 조병창은 미국 콜트사와 협정을 맺고 M16소총을 생산하면서 노하우를 축적했다. 이후 조병창은 1981년에 대우정밀공업(S&T모티브)으로 민영화되면서 소총 개발에 속도가 붙었다.
      
--> 
1975년부터 1979년까지는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K1 기관단총이 개발돼 1981S&T모티브에서 첫 양산을 시작했다. 1977년부터는 '자주국방의 초석'을 목표로 M16 소총을 대체할 한국형 소총 K2가 연구되기 시작해 1984년 개발에 성공했고 1985년부터 우리군에 납품, 개인화기로 본격 정착됐다.

이후 독자개발된 한국 최초의 소화기인 K1기관단총이 탄생한다. 이후 K1'총구들림'현상을 억제 할 수 있는 K1A소총으로 다시 태어나고 K2소총도 개발된다. K1AK2는 겉모습부터 틀리다. K1A는 개머리판을 두개의 강철선인 슬라이드식으로 되어 있으며 K2는 개머리판을 접을 수 있게 만들었다.

K4유탄기관총은 40mm 중화기 중대 편제화기로 1985년부터 1991년까지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발됐다. 기관총 유효사거리 밖의 적 밀집부대나 장갑차를 제압할 수 있는 무기가 절실했기 때문이다. K4는 기본적으로 차량에 탑재해 사용하지만 삼각대를 이용해 지상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탄약은 인마살사용 KM383고폭탄과 적의 차량이나 장갑차를 파괴하는 KM433탄이 사용된다. 훈련탄 KM385도 있다.

K5권총은 군장비 현대화 계획에 따라 한국인 체형에 적합하고 탄약공급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신형권총의 개발이 요구돼 S&T대우에서 독자개발된 권총이다. 우리 군에는 장교나 전차병에게 1989년부터 보급됐다. 탄창은 13발까지 확인할 수 있는 구멍이 있고 적은 힘으로도 방아쇠를 신속히 발사할 수 있는 속사기능이 추가됐다. 이 속사기능은 S&T모티브의 특허 기술이다.  

K6중기관총은 미군이 사용하는 M2중기관총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단지 M2의 총열교환방식이 나사회전식이었다면 K6는 잠금턱 방식을 채용해 단 5초만에 교환이 가능하다.

K7소음기관단총은 S&T모티브에서 1998년부터 독자개발한 총으로 전량 수입해오던 MP5기관단총을 대체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지난 2001년 초도양산된 K7는 분당 1200발까지 쏠 수 있으며 유효사거리는 135m.  

S&T모티브에서 최근에 수출용으로 개발한 것은 K2 카빈이다. 미국의 M4와 비슷한 모양새로 레일 어댑터 시스템(RAS)을 적용한 것이 장점이다. 레일 어댑터 시스템(RAS)은 소총의 성능을 발전시키기 보다는 부가장비를 적절하게 부착ㆍ활용하는 방안이다. 쉽게말해 총에 조준경, 후레쉬 등 옵션을 붙여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냉전종식이후 전쟁양상은 개활지에서 다수의 병력이 대치하는 전면전 대신에 대부분이 시가전 등 교전거리가 짧아졌다. 미국에서도 M4를 주력소총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장 환경의 변화가 많이 변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총 몸통의 상부와 총열 덮개를 폭 21mm의 레일로 대체해 사용자의 필요에 맞춰 장착 부위와 장착 형태도 자유로이 변환이 가능해졌다. 

2011년에는 국내 최초로 저격용소총인 K14도 개발됐다. K14는 유효사거리를 800m로 늘려 미군의 국방규격에도 통과했다. 미군 국방규격을 통과하려면 1MOA(총기의 명중정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를 모두 통과해야 한다. 1MOA 규격은 5발을 발사해 100야드는 1인치, 200야드는 2인치, 300야드는 3인치 안에 모두 명중해야 한다. K14의 무게는 5.5으로 현재 707특임대, 해군특수전 전대, 헌병 특경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msg-90저격소총(6.40)보다 가볍다. 

이 밖에 우리 군의 헬기와 전차에 장착된 미국산 M60을 대체할 K12 기관총도 눈길을 끈다. K12기관총은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에 장착됐다. K-12기관총은 항공기 탑재용과 지상용 모델 구분이 없다. 항공기탑재 기관총을 분리해 지상에서도 쓸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총열교체도 쉽다. 손잡이를 돌려 교체하면 된다. 7.62나토 공통탄 또는 308윈체스터탄을 사용하는 M60은 분당 200발을 사격하면 2, 분당 550~600발의 최대 발사속도에서는 1분마다 총신을 바꿔야 한다. 장병들은 그동안 총열이 뜨거워지면 두꺼운 장갑을 착용하고 총열을 분리해야만 했다. 

육군에 처음 보급된 K11 복합형 소총도 우리군의 뛰어난 기술력을 보여준다. 복합형 소총은 일반탄과 폭발탄을 모두 발사할 수 있는 화기로 미국 등에서도 개발에 나섰지만 전력화에 성공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20폭발탄은 적의 머리 위에서 탄을 폭발시켜 숨어있는 적이나 밀집된 병력을 제압할 수 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