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사드 배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는 데 주력하는 양상이다.
특히 미국이 이번 요격시험을 공개적으로 진행했다는 점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미국을 자극하는 북한은 물론 사드 배치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한국까지도 염두에 둔 행보로 보인다.
SRBM에 이어 IRBM도 사드로 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 줌으로써 '사드 배치 당위론' 전파 효과를 어느 정도는 거둔 셈이다.
[서울신문]미국이 사드 배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는 데 주력하는 양상이다. 국내 정치권 일각에서 여전히 ‘사드 배치 무용론’이 제기되는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11일(현지시간) 미 알래스카에서 실시된 사드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첫 요격시험이 대표적이다. 사드 요격시험은 이번이 14번째로 요격 성공률은 100%에 이른다. 단거리탄도미사일(SRBM)과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에 이어 이번 IRBM 요격까지 한 차례도 실패하지 않았다.
특히 미국이 이번 요격시험을 공개적으로 진행했다는 점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미국을 자극하는 북한은 물론 사드 배치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한국까지도 염두에 둔 행보로 보인다. 북한의 한반도 남쪽에 대한 탄도미사일 공격은 SRBM 위주가 되겠지만 IRBM을 고각으로 발사해 공격할 수 있다는 우려도 계속 제기돼 왔다. SRBM에 이어 IRBM도 사드로 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 줌으로써 ‘사드 배치 당위론’ 전파 효과를 어느 정도는 거둔 셈이다.
주한미군 수뇌부도 적극적으로 사드 배치 필요성을 설파하고 있다. 토머스 밴달 미8군사령관은 지난 11일 기자간담회에서 “성주에 사드가 배치됨으로써 대구, 부산 등 한반도 남쪽의 항만 등 핵심시설과 주민 1000만명을 보호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미군 고위 관계자가 이처럼 구체적으로 사드 효과를 설명한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밴달 사령관은 또 “사드 포대를 철수할 경우 똑같은 방어를 위해 훨씬 많은 패트리엇 포대를 배치해야 할 것”이라며 “넓은 지역이 (북한 미사일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1000만명 넘는 대한민국 국민이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도 지난달 말 전남 광양의 포스코 제철소 등을 거론하며 “사드로 방어할 수 있는 핵심 민간 기반시설”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우리 군 관계자는 12일 “한국 내부 논란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사드의 효용성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고 있는 것 같다”면서 “미군은 앞으로도 사드 배치 논리를 더욱더 강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美, 스팅어 미사일로 소형 드론 잡는다 (0) | 2017.07.13 |
---|---|
美, 아파치 헬기로 고출력 레이저무기 발사시험 성공 (0) | 2017.07.13 |
SCMP 칼럼니스트 "미국, 北공격한다면 '3중공습'할 듯" (0) | 2017.07.10 |
美국방부 "北 ICBM은 신형".."연료주입부터 관찰해 요격 가능 (0) | 2017.07.06 |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고 싶은 푸에르토리코 (0) | 2017.06.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