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현 입력 2017.03.09 18:17
한국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주저하고 있어 중장기적인 종합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9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2017년 산업계 연구개발(R&D) 투자 및 인력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기업들은 올해 전년대비 2.5% 증가한 약 51조 6000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자할 것으로 전망됐다.
"4차 산업혁명 주도할 자동차·정보통신 등 투자 전망 밝지 않아"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 한국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주저하고 있어 중장기적인 종합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9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2017년 산업계 연구개발(R&D) 투자 및 인력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기업들은 올해 전년대비 2.5% 증가한 약 51조 6000억원을 연구개발에 투자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 유형별로 보면, 대기업은 전년대비 2.0% 증가한 34조원,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전년대비 각각 3.6%, 3.2% 증가한 5조5000억원과 12조원을 투자할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개발 투자비만 놓고 보면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강화, 중국 경기 하방압력 등 향후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기업들의 연구원 신규채용 규모는 약 8000명 수준이며, 기업 전체 연구원 수는 34만 여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의 연구원 신규채용은 약 4700여명으로 전체의 59.1%를 차지했다. 이에 반해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각각 2700여명(34.2%), 500여명(6.7%) 수준에 그칠 것으로 관측됐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정보통신 분야는 연구원 수가 전년대비 9%(2973명), 연구개발 투자는 0.8%(132억원)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연구원 수는 3만5884명, 투자비는 1조6131억원으로 전망된다.
자동차와 기타산업은 투자가 전년대비 각각 0.9%, 1.0%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김종훈 협회 전략기획본부장은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연구개발 의지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면서도 "화학·섬유 등 일부 산업을 제외하고,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주요 핵심기술 분야(자동차·정보통신 등)의 투자 전망이 밝지 않아 이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등 신기술 등장으로 경제·사회 등 다양한 변화를 수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기술 부문에서 이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준비 요소인 노동시장 유연성, 기술 수준, 교육 수준, 인프라 수준, 법적 제도 등 5개 요소를 평가한 결과, 한국은 45개국 중 25위를 기록했다.
정민 연구위원은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을 통한 경제 강국 도약' 보고서를 통해 "선제적으로 4차 산업혁명을 대응한 주요국들은 이미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한국도 다양한 정책을 토대로 대응하고 있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 추진을 위한 종합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조언했다.
또한 "한국은 다른 주요국에 비해 기업 생태계 역동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며 "역동성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 아이디어 등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업이 탄생할 수 있는 중요한 여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경제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술 부문 4대 전략으로 ▲4차 산업혁명 생태계 구축 ▲혁신 역량 강화 추진 ▲미래 노동시장 변화 대비와 인재 육성 ▲4차 산업혁명 역기능 해소를 위한 사회적 합의 도출 등을 꼽았다.
odong85@newsis.com
/헌법재판소/박근혜 파면선고 (0) | 2017.03.11 |
---|---|
탄핵 인용될 경우 '조기 대선'..5월 9일 유력 (0) | 2017.03.09 |
'삼성특혜' 의혹에 입닫은 공정위원장 "언젠가 진실 밝힐 것"(종합) (0) | 2017.02.15 |
국민 75.9% "개성공단 폐쇄, 남북관계에 도움 안돼" (0) | 2017.02.10 |
고은·한강·황현산..특검이 밝힌 '블랙리스트' 피해자들 (0) | 2017.02.0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