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민 75.9% "개성공단 폐쇄, 남북관계에 도움 안돼"

국가현실과 미래

by 석천선생 2017. 2. 10. 18:01

본문

입력 2017.02.10 14:39

개성공단 조업이 전면 중단된지 1년을 맞는 가운데 국민 75.9%가 남북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했다.
국민 절반 이상은 개성공단 운영을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33.6%는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치가 ‘남북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 편’이라고 말했고, 42.3%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국민의 절반 이상은 개성공단 재개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 개성공단 조업이 전면 중단된지 1년을 맞는 가운데 국민 75.9%가 남북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했다. 국민 절반 이상은 개성공단 운영을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10일 한국갤럽에 의뢰해 실시한 ‘남북관계에 대한 국민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박근혜 정부는 북한의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2월10일 개성공단 가동을 전면 중단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33.6%는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치가 ‘남북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 편’이라고 말했고, 42.3%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폐쇄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국민은 약 15%에 그쳤다.

국민의 절반 이상은 개성공단 재개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4.6%는 ‘개성공단 조업을 재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한 반면 34.7%는 ‘계속 폐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지역별로 보면 유일하게 대구ㆍ경북지역에서만 개성공단 재개(38.8%)보다 지속적인 폐쇄(50.6%)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국회입법조사처는 “개성공단은 분단을 넘어 공단 종사자들 간 일상적 교류를 할 수 있는 장소인 동시에 미래의 통일을 경험하는 중요한 장소”라면서 “전면중단을 부분중단으로 전환하는 데서부터 남북관계의 실마리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대북정책 방향에 대해 국민 55.9%는 제재와 대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고, 24.7%는 전면적인 대화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80.6%는 남북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한 것이다.

‘대화없이 제재를 계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3.9%에 불과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제재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전쟁기간에도 대화는 한다’는 점에서 아무리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대화의 끈을 놓아서는 안될 것이라는 견해를 지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