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7.02.10 14:39
개성공단 조업이 전면 중단된지 1년을 맞는 가운데 국민 75.9%가 남북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했다.
국민 절반 이상은 개성공단 운영을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33.6%는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치가 ‘남북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 편’이라고 말했고, 42.3%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국민의 절반 이상은 개성공단 재개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 개성공단 조업이 전면 중단된지 1년을 맞는 가운데 국민 75.9%가 남북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했다. 국민 절반 이상은 개성공단 운영을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10일 한국갤럽에 의뢰해 실시한 ‘남북관계에 대한 국민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박근혜 정부는 북한의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2월10일 개성공단 가동을 전면 중단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33.6%는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치가 ‘남북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 편’이라고 말했고, 42.3%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폐쇄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국민은 약 15%에 그쳤다.
국민의 절반 이상은 개성공단 재개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4.6%는 ‘개성공단 조업을 재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한 반면 34.7%는 ‘계속 폐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지역별로 보면 유일하게 대구ㆍ경북지역에서만 개성공단 재개(38.8%)보다 지속적인 폐쇄(50.6%)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국회입법조사처는 “개성공단은 분단을 넘어 공단 종사자들 간 일상적 교류를 할 수 있는 장소인 동시에 미래의 통일을 경험하는 중요한 장소”라면서 “전면중단을 부분중단으로 전환하는 데서부터 남북관계의 실마리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대북정책 방향에 대해 국민 55.9%는 제재와 대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고, 24.7%는 전면적인 대화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80.6%는 남북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한 것이다.
‘대화없이 제재를 계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3.9%에 불과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제재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전쟁기간에도 대화는 한다’는 점에서 아무리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대화의 끈을 놓아서는 안될 것이라는 견해를 지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 4차 산업혁명 준비 미흡.."핵심기술 투자해야" (0) | 2017.03.09 |
---|---|
'삼성특혜' 의혹에 입닫은 공정위원장 "언젠가 진실 밝힐 것"(종합) (0) | 2017.02.15 |
고은·한강·황현산..특검이 밝힌 '블랙리스트' 피해자들 (0) | 2017.02.01 |
"좌파는 잘먹는데 우파는 배고파"..김기춘, 취임부터 장악의지 (0) | 2017.01.31 |
유신의 늪’에 빠진 박근혜 역사 인식, '방송3사 검증 포기 (0) | 2017.01.3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