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7.01.18 00:35 수정 2017.01.18 06:28
새해부터 동아시아 안보환경이 편치 않다. 이틀 후면 중국 손보기를 별러 온 도널드 트럼프가 미 대통령에 취임한다. 중국도 물러설 기미가 없다. 미 해군의 수중 드론에 손을 대는 등 강경 일변도다. 중국이 연루된 남중국해부터 대만해협, 동중국해, 한반도 등 모든 곳에서 긴장이 고조될 전망이다. 중국 군사력이 과연 미국에 맞설 만큼 커진 걸까. 어떻게 평가해야 하나. 또 전투력 제고를 위한 중국군 개혁이 우리에게 던지는 함의는 무언가.
중국은 말과 행동이 다른 경우가 적지 않다. 선언은 평화적인데 움직임은 공세적인 게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표적인 예가 2013년 10월 주변국에 대한 우호적 외교를 강조한 ‘친(親)·성(誠)·혜(惠)·용(容)’ 정책을 발표한 지 불과 한 달 만에 동중국해에 ‘방공식별구역(ADIZ)’을 선포해 긴장을 야기한 것이다. 그게 중국이다.
세 번째는 군사적으로 보다 의미 있는 방법으로 위의 주기별 군사력 변화를 응용한 것이다. 작전 측면에서 상대국 변수를 동원하고 또 육·해·공군의 합동작전 시나리오를 상정한다. 예를 들어 미 공군 기지에 대한 중국의 공격 능력, 미·중의 사이버전 능력 등이 포함된다. 우리의 경우 대상국은 북한이다.
━
상대방 입장서 보는 순(純)평가 중요성
모든 전쟁 지휘관의 가장 큰 고민은 무언가. 그것은 바로 상대방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나를 알아내는 것이다. 훌륭한 지휘관은 상대방의 시각에서 안보 환경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같은 사고방식을 미국에서는 ‘순(純)평가’ 혹은 ‘전략적 평가’라 부른다. 내가 아니라 관찰 대상의 입장에서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한편 2015년 마지막 날 시진핑은 중국인민해방군 육군, 로켓군(火箭軍) 및 전략지원부대 창설식에 참석해 군기를 수여했다. 이로써 중국군은 육·해·공군 및 로켓군의 4개 군종과 1개 ‘특수 병종’(전략지원부대) 체제를 갖추게 됐다.
여기서 우리의 관심을 끄는 건 한반도와 러시아, 몽골을 작전 지역으로 하는 북부전구(北部戰區)다. 북부전구는 4개의 집단군으로 구성돼 있는데 산둥(山東)성 웨이팡(維坊)에 사령부를 둔 26군은 한반도 유사시 대비임이 틀림없어 보인다. 26군은 중국군 내 몇 개 안 되는 육군 항공여단과 특수전 부대를 운영하고 있다.
중국군 개혁의 목표는 ‘현대화, 정보화, 합동화된 전역(戰役·campaign)급 전투력을 갖춘 군’을 만드는 것이다. 지휘체계 단순화를 노리고 있으며 업무는 ‘중앙군위는 총괄 관리(軍委管總), 전구는 작전 주관(戰區主戰), 군종은 군 현대화(軍種主建)’로 나뉜다. 군 개혁이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저항도 만만치 않아 성공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
한·미·일 안보 협력에 어떤 의미를 갖나
중국군 개혁이 주변국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론 크지 않을 전망이다. 군 개혁의 초기 목표 연도가 2020년이고, 개혁의 규모가 크긴 하지만 아직은 내부 지향적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미국의 재균형(rebalancing) 정책 효과를 상쇄시킬 것이다. 이는 미국의 아·태 동맹국 등 역내 국가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전반적으로 제고시킨다는 뜻으로 이에 따라 기존 미·중 간의 영향력 경쟁이 격화될 전망이다.
세 번째는 분쟁 지역 당사국들의 군사화를 촉진시킬 것이다. 중국이 주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 대만해협, 동중국해에 연루된 분쟁 당사국들이 무장 강화에 나설 것이며 한반도의 경우엔 그 영향이 보다 첨예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미·일 동맹을 근간으로 지역 안정을 추구하는 미국의 아·태 안보정책이 미·일·중의 경제·군사적 추이를 감안할 때, 장기적으로 현상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먼저 ‘방어적 충분성’에 기초한 전력 건설이 필수적이다. 군사적 대비 측면에서 향후 한국군은 소규모 분쟁 가능성에 대한 대응능력 및 도발을 거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자체적인 억지력을 확보해야만 한다.
단기적으론 영해상의 소규모 분쟁에 대비한 해·공군력을 보유해야 하며 장기적으론 대규모 무력도발을 거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어력을 구축해야 한다. 효과적 방어력엔 독자적 정보수집 능력, 첨단 군사기술력, 차세대 공군력 및 잠수함 전력 등이 포함된다.
국제 사회엔 ‘중국의 군사력이 언제쯤 미국을 따라잡을까’ 등과 같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논의가 분분하다. 한데 중요한 건 중국의 미국 추월 여부가 아니다. 왜? 중국은 그런 목표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한국을 포함 역내 국가들에 이미 커다란 도전과 문제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그게 오늘을 사는 우리가 부딪치고 있는 현실이다.
■◆김태호
중국 언론, 북한 미사일 시험발사와 사드 연결해 비난 (0) | 2017.02.13 |
---|---|
조수미도 공연 취소?..사드 보복 촉각 (0) | 2017.01.21 |
'사드 보복' 우려 전했지만..中, 차별적 조치 부인(종합) (0) | 2017.01.14 |
양국 외교안보회의서 ‘반대’ 재확인 (0) | 2017.01.13 |
중국 "스텔스기 천적" 양자레이더 개발 성공-연합뉴스 (0) | 2016.09.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