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바나나 분경과 재배법

각종유실수 재배법

by 석천선생 2020. 6. 15. 00:29

본문

바나나 분경과 재배법

바나나 분경과 재배법 | 바나나

 

. 바나나묘목 만들기

 

바나나의 번식은 주로 흡아(吸芽)와 지하 줄기에 의하여 행한다.

실생에 의한 번식은 교잡육종(交雜育種)을 행하는 때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1) 흡아 번식법

흡아에 의한 번식법은 바나나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 번식법은 흡아가 자라나오는 시기, 어미포기의 연령 등에 의하여 몇 개로 나눌 수가 있다.

 

검아(劍芽) 번식법

검아는 포기의 아랫부분은 크나 잎이 가늘고 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부르는 것이다.

검아는 보통 어미포기가 비대해서 꽃봉오리가 나오기 전에 발아하는 것으로 어미포기를 갱신하는데 쓰인다.

또 같은 싹에 대검아(大劍芽)가 있으나 이것은 가을 과실을 수확한 후 지하 줄기로부터 싹터 나오는 것으로 4~6개월에 땅위로 발아하여 어미포기에서 분리하게 되는 것으로 이것을 번식에 사용하나 묘가 크기 때문에 어미포기에서 끊어낼 때 어미포기를 다치는 일이 많으므로 충분한 주의를 기울인다.

정식할 때에는 수분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잎의 일부를 잘라 둔다.

 

위엽흡아(萎葉吸芽) 번식법

9월부터 12월의 과실을 수확한 후 지하 줄기에서 발아해 오는 싹을 위엽흡아라고 한다.

이 싹은 발아한 그대로 월동하게 되므로 잎이 말라 버리는 일도 있으나 다음해 봄에는 말라 죽는 일없이 또 발아하게 된다. 이 흡아는 지하 줄기가 크고 뿌리를 많이 달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새로 심는데에는 이 묘를 사용한다.

 

대엽아(大葉芽) 번식법

이 눈은 봄 또는 여름에 과실을 수확한 후에 발아하게 되는 눈으로 잎은 타원형으로 비교적 대형이다.

줄기는 가늘고 도장하는 일이 흔히 있어서 묘의 힘이 약하고 과실이 달리는 수도 적어서 번식에는 그다지 사용하지 않는다.

흡아에 의한 번식에는 이상과 같은 것이 있으나 새로 심은데 쓰려면 일반적으로 위엽흡아(萎葉吸芽)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을 채취하는 어미포기는 생육이 왕성한 1년생 이상, 4년생 미만의 젊은 포기가 적당하며 포기나누기를 하는 시기는 4월이 가장 좋고 6월 이후에는 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포기를 캐어낼 때에는 어미포기나 캐어 내려고 하는 흡아의 포기를 상하게 하지 않도록 충분히 주의하고 캐어낸 포기의 끊긴 부분이 심은 후에 부패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포기의 갱신은 5~6월에 싹터 나온 발육이 왕성한 흡아를 남기는 것이 가장 좋으나 새 포기를 남기는 시기는 어미포기의 발육 상황을 보아 가면서 발육이 왕성한 경우에는 일찍, 약한 경우에는 조금 늦추어서 하고 어미포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배려한다.

예를 들면 심은지 첫해에는 새 싹을 남기지 않고 어미포기의 영양생장을 충분히 할 것, 2년째의 2월부터 6월 사이에 새 싹을 남겨서 어미포기의 개화 결실을 도모함과 더불어 새 포기도 충실하도록 도모한다.

이때 포기의 깊이, 싹의 방향 등에도 충분히 주의하여 재식거리와 포기의 안정을 고려한다.

 

(2) 지하줄기 번식법

지하줄기에 의한 번식은 지하 줄기를 캐어 내서 중심 눈을 끊어낸 후 각각으로 잘린 포기에 한 눈씩 남도록 세로로 잘라서 행한다.

지하 줄기에 달려있는 눈은 일반적으로 65% 전후의 좋은 발아율을 가지나 오래된 지하줄기나 수확한 후의 지하줄기에 붙은 눈은 발아율이 15% 전후로 그다지 좋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그렇기 때문에 포기를 자르는 번식에는 검아, 대엽아 등을 쓰고 있다.

포기는 보통 2~4 등분하나 10cm 이상의 뿌리가 달린 포기는 4등분하고 그 이하의 길이로 뿌리밖에 달리지 않은 포기는 2등분한다.

심은 것은 잘라낸 부분이 부패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묘상은 바람의 피해, 서리의 피해가 없는 것과 배수에도 특히 주의한다.

번식을 행하는 시기로서는 지온의 상승에 따라 부패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겨울에 행하는 것이 가장 좋고 가을부터 이른 겨울에 심어서 다음해 1월경에 발아하게 해서 충분한 비배관리를 행하면 5월에는 정식할 수 있게 된다.

 

참고 도서

접목과 삽목(차건성) 오성출판사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