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같은 장마철에는 몸이 눅눅하고 무거워지는 느낌이 듭니다. 이는 대기의 높은 습도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한의학에서는 풍(風) 한(寒) 서(暑) 습(濕) 조(燥) 화(火) 여섯 가지 기후요소를 질병의 중요한 원인으로 보았습니다. 정상적으로 작용한다면 6가지의 기후, 즉 육기(六氣)가 되나 이것이 어느 기준을 넘게 되면 질병의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를 여섯 가지의 나쁜 기운이라 하여 ‘육음(六淫)’이라고 불렀습니다. 이 중에 장마철의 병은 습한 기운이 문제가 되지요. 장마철에 습기가 과도하여 우리 몸에서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면 나쁜 습기 즉, ‘습사(濕邪)’에 노출되었다고 말합니다. 비를 맞아 몸이 오싹한 느낌이 들거나, 장마철 산 속이나 강가에서 습한 바람을 오래 맞는 것도 습사에 영향을 받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장마철 감기가 이러한 습사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습병(濕病)’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습병은 꼭 기후 탓만은 아닙니다. 찬 음료나 과일, 기름진 음식을 과다 섭취해도 습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음양으로 볼 때, 습사는 음(陰)의 성질을 띠므로 우리 몸의 동력원인 양(陽)의 기운을 소모시키고, 기의 흐름을 더디게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 무겁고 탁한 성질이 있기 때문에 습사에 의해 병이 생기면 얼굴이나 손발이 붓고, 솜이 물에 젖은 것처럼 몸이 무겁고 팔다리가 나른해집니다. 혹은 가슴이 답답해지기도 합니다. 음식을 자칫 잘못 먹으면 묽은 설사를 하게 되고, 소변의 양도 적고 맑지 못합니다. 인체에 쌓이는 습(濕)은 땀과 대소변으로 빠져나가야 하는데 여기에 문제가 생기면 체내에 습이 쌓이게 되고 관절 내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열을 만나거나 찬기운과 결합하게 되면 아프게 됩니다. 몸이 무겁고 잘 부으며 비만한 사람들은 날이 궂으면 무릎 통증을 많이 호소하기 때문에 걸어다니는 기상대라고도 하지요. 이런 때는 반드시 대소변을 시원하게 보도록 치료를 받아야 무릎의 붓기와 통증이 근본적으로 치료되게 됩니다. 또한 습병을 막으려면 비록 여름철이지만 틈틈이 집안을 난방해서 습기를 제거하고, 침구류를 뽀송뽀송하게 해야 합니다. 가벼운 운동으로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것도 좋습니다. 운동을 통해 약간의 땀을 내고 소변이 시원하게 나가게 해야 신체의 수분대사가 원활해지고 세포의 수분조절능력이 복구되어 몸이 가벼워집니다. 찬 녹차나 우유보다는 따뜻한 생강차나 차조기 잎으로 달인 차가 습한 기운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장마철에 집안환경과 몸을 잘 관리하여 습병에 의한 질병 예방에 특별히 주의해야겠습니다. < 나 삼 식 무의도 한방병원 원장> |
국내 연구진, 당뇨병 근본 치료 가능한 새로운 표적 제시 (0) | 2019.01.16 |
---|---|
"초음파 스캔 5분이면 사전에 치매 가능성 판단" (0) | 2018.11.12 |
습한 날씨, 습병(濕病) 피하려면 몸속 먼저 돌보세요 (0) | 2018.11.08 |
습병.습사 (0) | 2018.11.08 |
서병 .습병 (0) | 2018.11.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