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연호 입력 2019.01.16. 12:00
국내 연구진이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을 제시했다.
이인규 교수(경북대), 임재찬 교수(대구가톨릭대)는 근육에서 세포소기관의 상호작용을 제어해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을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 16일 밝혔다.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을 제시했다.
인슐린 저항성은 식후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작용이 정상보다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국내 당뇨병 환자는 꾸준히 증가해 30세 이상 성인의 7명 중 1명(14.4%)에 달한다. 현재 처방되는 약물요법으로는 증세를 관리하는데 그칠 뿐 근본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세포소기관으로부터 질병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아내고자 했다. 이 연구는 근육에서 미토콘드리아 효소인 PDK4가 세포소기관을 조절해 인슐린 저항성이 유발됨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 비만 동물의 근육에서 PDK4가 증가하면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사이의 연결이 과도하게 증가한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로 칼슘 유입이 증가하면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과 인슐린 저항성이 생긴다.
실제 PDK4가 결핍된 생쥐에서 미토콘드리아-소포체의 상호작용이 억제돼 근육의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됐다.
이인규 교수는 “지난 연구에서 PDK4를 억제해 간의 포도당 생성을 제어한 데 이어 이번 연구에서 PDK4를 억제해 근육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켰다”라며 “향후 PDK4를 억제하는 신규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지속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X프로젝트),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당뇨병 분야 최고 권위지인 ‘당뇨병(Diabetes)’에 12월 6일 게재됐다.
이연호 (dew9012@edaily.co.kr)
류미티스 관절염 유발하는 염증 반응 제어 방법 찾았다 (0) | 2019.03.04 |
---|---|
'아이고 무릎이야'..퇴행성 관절염 원인 알고보니 (0) | 2019.02.07 |
"초음파 스캔 5분이면 사전에 치매 가능성 판단" (0) | 2018.11.12 |
장마철 습병 (0) | 2018.11.08 |
습한 날씨, 습병(濕病) 피하려면 몸속 먼저 돌보세요 (0) | 2018.11.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