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라진 '이웃사촌'.. 인사도 안하는 '무심한 대한민국

사회생활속 화제들

by 석천선생 2017. 7. 8. 15:00

본문

'김라윤 입력 2017.07.08. 14:42

교류 단절된 '이웃사촌' / 2016년 이웃에 소속감 느끼는 사람 2.8% / 2001년 30.8%서 급감.. 유대감 떨어져 / 위급시 이웃도움 받기 힘들다도 37.6% / 10년전 26.9%보다 10.7%P 급증 보여 / 비혼족·딩크족·프리랜서 등 삶 다양화 / 아파트 중심 주거문화와 전월세 늘며 동네 이웃 대한 애착 떨어진 게 주요인 / 지나친 사적 영역 캐묻는 대화 삼가야

# 서울 송파구 잠실의 한 대규모 아파트단지에 거주 중인 취업준비생 서보라(26·여·가명)씨. 얼마 전부터 엘리베이터에서 마주칠 때마다 안부를 챙겨 묻는 이웃사람들과 마주치지 않기 위해 계단까지 이용하기 시작했다. 서씨가 대학 졸업 후에도 대낮에 모자를 푹 눌러쓴 학생 차림새로 자주 목격되자 “요새는 명문대 나와도 취업이 하늘에 별 따기다” “취업 재수, 삼수는 기본이다”며 서씨에게 ‘걱정과 격려’의 메시지를 전하기 시작한 것. 좋은 의도에서 한 말들이 취준생 서씨에겐 어쩐지 감시와 질책의 언어로 들려 압박감까지 들게 한다. 이웃들을 피해 그저 ‘도시의 은둔자’로 살고 싶은 것이 최근 서씨의 심정이다.

# 서울 구로구에서 같은 아파트에 6년째 거주 중인 비혼주의자 김모(54·여)씨는 같은 동 사람들과 아직 인사도 트지 않았다. 예전에 살던 동네에서는 이웃들과 인사도 곧잘 하고 지냈지만 조금만 친해져도 ‘멀쩡한 직업을 놔두고 결혼을 하지 않고 혼자 사는 사연’을 캐묻는 이웃들의 호기심에 피곤함을 느끼기 시작했기 때문. 함께 사는 직장인 조카는 딸이라고 둘러댔다. 조카는 사람들 앞에서 이모를 이모라 부르지 못하고 ‘엄마’라 불러야 하는 피곤함에 시달리기 시작했다.

최근 이웃과의 유대감이 약해지는 것은 물론 이웃과 마주쳐도 인사조차 하지 않고 지나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대인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은 아파트 중심의 주거문화에 더해 주거지를 자주 바꾸는 전월세 거주자가 늘면서 동네에 대한 애착이 떨어진 것을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다. 또 최근 1인 가구의 가파른 증가세와 함께 ‘전통적 라이프사이클’에서 벗어나 정해진 시기에 취업, 결혼과 출산 등 생애주기별 과업을 실천하지 않고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꾸려가는 사람들이 증가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 주관으로 사회조사연구기관 월드리서치가 전국 17개 광역시·도(세종시 포함)에 거주 중인 시민들 중 50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해 조사한 ‘2016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에 따르면 이웃 간의 유대감이 급속히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이웃에 소속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응답자 중 단 2.8%에 불과했다. 이는 2001년 30.8%에서 급감한 수치다. 또 위급상황 발생 시 이웃에게서 도움을 받기 힘들 것이라고 부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은 37.6% 수준으로 10년 전(26.3%)보다 11.3%포인트 급증했다. 1996년엔 이웃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답했던 사람들이 14.7%에 이르렀으나 2016년엔 4%만이 이와 같은 응답을 한 것이다. 이렇다 보니 삶에서 중요한 요소로 ‘행복한 가정’을 꼽는 사람들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이웃과의 관계를 꼽은 사람들은 드물다.

사회적 결속과 대인 간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해 온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한국의 아파트를 포함한 공동주택 중심의 주거문화와 함께 잦은 주거지 변동을 꼽았다. 윤인진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사람들의 자가 거주 비율이 줄고 이동성이 높아지면서 사는 곳에 대한 애착 자체가 줄고 이웃과 관계를 잘 맺겠다는 동기부여 자체가 현저하게 떨어진 상태”라며 “서양에서는 잘 모르는 사람에게도 인사를 하는 문화가 정착돼 있다면, 한국에서는 얕은 인간관계는 중요치 않다고 생각하는 데다 잘 모르는데 인사하는 것을 ‘가짜 친밀성’ ‘일종의 속임수’로 생각하는 경향이 짙다”고 분석했다.

현대사회에서는 피상적이고 짧게 유지되는 인간관계가 증가할 수밖에 없고 잘 모르는 이웃과도 인사 정도는 하는 커뮤니케이션 매너를 기를 필요가 있다. 하지만 ‘내 사람’과 ‘친하지 않은 사람’을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경향 때문에 일종의 문화지체가 일어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사람들의 삶이 다원화된 것 역시 ‘인사하고 지내는 문화’를 약화시켰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지난해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가 발표한 ‘생애주기에 따른 이웃관계의 형성요인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웃관계의 상당 부분이 자녀를 매개로 정보공유 등을 하며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이웃과 친해지게 된 계기를 설문한 결과 자주 마주치게 된 것이 계기였다는 사람은 전체의 25.4% 수준에 머물렀고 52.0%가 자녀의 학교생활, 유치원 등을 매개로 이루어졌다고 응답했다. 그 외 취미·여가활동은 9.6%, 부녀회 등 주민조직 활동을 통해 이웃관계가 형성된 경우는 3.7%에 불과했다.


김영란 숙명여대 사회심리학과 교수는 “자주 마주치는 것뿐만 아니라 서로 뭔가 공유하는 게 있어야 친해질 수 있다. 예컨대 각자가 키우는 강아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매개로 친해졌다고 응답하는 경우도 꽤 있는데 서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커뮤니티 교류 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공동 텃밭 가꾸기 등의 행사가 이웃 간 친밀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보고서들 역시 꾸준히 나오고 있다. 다양한 가구의 등장과 함께 각자의 삶이 다원화하는 만큼 커뮤니티 코디네이터들의 활동 역시 중요하다는 얘기다.

개인주의 문화가 점차 확산하면서 생애주기별로 정해진 과업을 실천해야 한다고 가정하는 ‘전통적 집단주의 규범’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한 것도 새로운 원인으로 지적됐다. 나은영 서강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개인의 선택이 다양화하면서 비혼주의자, 애를 낳지 않고 살아가는 딩크족, 한 직장에 얽매이지 않는 프리랜서, 늦깎이 취업준비생 등 사람들의 삶이 다양해지고 있는데 커뮤니케이션 예절이 이를 반영하지 못한 까닭도 있다”며 “사람들의 가치관 자체가 다원화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해 지나치게 사적인 부분을 캐묻는 대화는 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단순히 이웃하는지의 여부를 떠나 커뮤니케이션의 양식 역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라윤 기자 ryk@segye.com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