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자준비 및 소독 | ||||||||||||||||||
1) 종자 구입 | ||||||||||||||||||
○ 종자는 전년도에 생산된 것으로 발아력이 높은 종자를 구입하여야 함 | ||||||||||||||||||
- 보급종은 이장 또는 통장을 통하여 시?군 또는 읍?면(동)에 신청 - 개인이 직접 국립종자원의 홈페이지에 접속 “정부보급종 신청 시스템”으로 신청하는 방법도 있음 - 보급종이 생산되지 않는 품종은 시?군 농업기술센터의 시범포나 품종육성 기관에서 분양받는 것이 순도와 발아력측면에서 안전함 | ||||||||||||||||||
○ 자가 채종 종자나 다른 농민에게서 구입한 종자 등은 반드시 파종 전에 종자의 발아력을 검정하는 것이 안전함 | ||||||||||||||||||
2) 종자소독 및 토양 약제처리 | ||||||||||||||||||
○ 콩 종자소독 및 새 피해경감 적용약제 | ||||||||||||||||||
| ||||||||||||||||||
○ 종자 소독약 “수화제1호(벤레이트티)”나 “베노밀” 등을 씨앗 1kg에 4∼5g 정도 고루 묻도록 분의소독 | ||||||||||||||||||
- 올콩을 조기파종하거나 장마와 가뭄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종자소독을 반드시 하여야 함 - 거세미, 고자리 파리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토양살충제 처리 후 파종하는 것이 좋음 | ||||||||||||||||||
2. 시비방법 | ||||||||||||||||||
○ 콩의 표준시비량은 표4-3과 같이 오래된 밭은 성분량으로 질소-인산-칼리 : 3-3-3.4kg/10a, 개간지는 6.0-8.0-6.0 이나 이는 전국 평균치이므로 토양비옥도가 포장마다 다르므로 토양검정치에 의한 시비량을 조절하여야 함 | ||||||||||||||||||
- 최근 농가에서는 대부분 복비(N-P-K:8-8-9)를 40kg/10a 시용하고 있어 균형시비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니 토양 검정치에 의하여 시비량 조절 필요 | ||||||||||||||||||
3. 파종 | ||||||||||||||||||
1) 파종기 | ||||||||||||||||||
○ 콩은 늦서리의 해가 없고 땅 온도가 15℃ 이상이면 출아가 가능하며, 출아일수를 고려할 때 20℃ 이상일 때가
파종적기라고 볼 수 있음 ○ 평균기온에 따른 콩의 출아 소요일수 | ||||||||||||||||||
| ||||||||||||||||||
○ 중부지역은 5월중~하순, 남부지방은 6월상~중순이 파종적기임 | ||||||||||||||||||
2) 파종량 | ||||||||||||||||||
○ 파종량은 100립중에 따라 다른데, 현재 보급되고 있는 100립중은 대체로 12~25g 정도이므로동일한 재식밀도에서도
100립중에 따라 종자소요량이 다름 ○ 이랑을 60cm, 포기사이를 20cm로 하여 2알씩 심을 경우 10a당 16,000립, 기계화 재배를 고려하여 이랑을 65~70cm, 포기사이를 15cm로 하여 2알씩 심을 경우 10a당 파종량은 18,000~20,000립 정도임 ○ 콩 논재배 시 재식밀도에 따른 수량성 | ||||||||||||||||||
| ||||||||||||||||||
4. 생육 관리 | ||||||||||||||||||
1) 중경ㆍ배토 | ||||||||||||||||||
○ 중경은 콩이 자라는 초기 단계에 골 사이를 긁어주는 작업임 ○ 배토는 골 사이의 흙을 긁어 어린식물에 북주기를 하는 작업으로 잡초 방제를 목적으로 실시 | ||||||||||||||||||
- 제초제의 등장으로 인력에 의한 중경배토는 없어졌으나 최근 대면적 재배농가를 중심으로 다목적관리기나 트랙터 부착
중경배토기로 중경배토를 실시하고 있음 - 중경배토의 시기는 제초제를 사용 시는 파종 후 30~40일경 1회 실시하고 제초제 미사용 시는 제초를 겸한 2~3회 북주기를 실시 | ||||||||||||||||||
○ 배토횟수 및 시기 | ||||||||||||||||||
| ||||||||||||||||||
2) 순지르기(적심) | ||||||||||||||||||
○ 시기 및 방법 | ||||||||||||||||||
- 본엽 5~7매시 생장점을 제거해 줌 * 순지르기 하는데 노력이 많이 들어 개체마다 일일이 할 수 없을 때에는 낫으로 일정한 높이에서 쳐버리기도 함 | ||||||||||||||||||
○ 순지르기 효과 | ||||||||||||||||||
- 곁가지들의 왕성한 생육을 유도하여 보다 많은 꼬투리를 확보 - 뿌리가 굵어지고 잔뿌리의 발생 증가 → 쓰러짐 방지 | ||||||||||||||||||
* 순 지르기 할 때 유의할 점 | ||||||||||||||||||
○ 늦게 파종하거나 생육이 불량할 때는 순지르기를 하면 오히려 수량이 떨어짐 ○ 키가 작고 쓰러짐에 강한 품종은 적심 효과가 낮음 | ||||||||||||||||||
3) 재해대책 | ||||||||||||||||||
○ 습해 : 우리나라에서 과습 피해를 입기 쉬운 시기는 7월을 중심으로 한 장마 기간으로 콩의 영양생장기~개화기에 해당되는 시기임. 특히, 뿌리혹박테리아는 호기성이므로 습해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집중호우 또는 장마기간 중에는 배수에 신경을 써야 함 | ||||||||||||||||||
- 배수로를 설치하여 고인 물을 제거하고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함 | ||||||||||||||||||
○ 가뭄 : 콩은 비교적 가뭄에는 강한 편이나 종실 비대기에 가뭄을 받게 되면 종실 비대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게 되어서 종자활성과 수량이 크게 감소됨. 이 시기에 적절히 관수를 하게 되면 20~30%이상 증수를 할 수 있음 | ||||||||||||||||||
- 수량에 영향을 많이 주는 가뭄시기는 영양생장기 보다는 생식생장기이며, 감수율은 개화기 14%, 협비대기 20%,
종실발육기에는 26%의 감수됨 - 가뭄 시 짚, 산야초 및 미숙퇴비 등 피복처리에서 무피복에 비하여 꼬투리수 및 100립중이 증가하여 17-25%의 증수효과 있음 | ||||||||||||||||||
○ 풍해 : 콩의 풍수해는 8~9월 태풍이 불어올 때 많이 발생, 대책으로는 방풍림, 방풍벽, 방풍망을 설치하거나, 바람에 의한 쓰러짐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쓰러짐에 강한 품종을 재배하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배토해 준다. 또한 해안지방이나 바람이 많이 부는 경사지에서 재배할 때는 키가 큰 옥수수나 수수 같은 작물을 주위작(周圍作) 또는 혼작으로 재배하는 것도 풍수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 | ||||||||||||||||||
중요원소의 역할과 결핍증상 (0) | 2014.09.08 |
---|---|
식물의 미량요소 결핍에 대하여. (0) | 2014.09.08 |
콩 품종 고르기 (0) | 2014.09.07 |
콩 재배법 (0) | 2014.09.07 |
오이 재배법 (0) | 2014.09.0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