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CBS 조성준 기자]인간의 뇌 영역 가운데 공포, 불안, 성행동 등을 결정짓는 '편도체(amygdala)'의 노화로 인한 변화가 남녀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박준택)은 30일 자기공명연구부 조경구, 김형준 박사 연구팀이 경희대학교,
서울아산병원과 공동으로
자기공명영상(MRI)을 활용한 뇌 연구를 통해 인간 뇌 '편도체 중심핵(central nucleus of amygdala, CeA)'의 노화에 따른 변화가 남성과 여성에 있어 현격한 차이가 있음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피실험자 121명의 뇌를 MRI로 촬영해 연구한 결과, 내분비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불안 등 감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편도체 중심핵 부분이 여성의 경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급격하게 줄어드는 반면, 남성은 변화가 거의 없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에 따라 여성의
불안장애 유병률이 남성보다 높은 반면, 폐경기 이후 여성의 유병률이 감소하는 것은 편도체 중심핵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기존 연구결과에서는 50세 폐경기를 전후한 여성의 경우 여성 호르몬이 급격히 줄어드는 반면, 남성 호르몬의 변화는 적기 때문에 호르몬 변화에 의해 유병율이 감소한 것으로만 추정됐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인간은
페로몬을 처리하는 기관(보습코계, vomeronasal organ)이 별도로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뇌 피질핵 크기에서 남녀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됐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남성의 뇌 편도체 피질핵(cortical nucleus of amygdala, CoA) 크기가 여성의 것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남성이 성적인 의미를 담은 시각 자극(에로틱한 그림 등)이나 성행동 등에서 여성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이러한 뇌 편도체 피질핵 크기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초연 조경구 자기공명연구부장은 "여성이 폐경기 이후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것은 호르몬 변화와 함께 중심핵의 크기 변화가 영향을 미친다는 추론이 가능해졌다"면서 "MRI을 이용한 편도체 분석법은 향후 임상적 데이터가 축적되면 편도체와 관련된 신경정신질환의 보조 진단도구로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