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은 복부 깊숙한 곳에서 다른 장기들에 둘러싸여 있고 암이 생겨도 초기 증상이 거의 없다. 징후가 보여도 위, 간 질환 증상과 확실하게 구분되지 않아 일찍 발견하는 게 어렵다.
증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나 병원에 가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25일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소변으로 췌장암을 진단하는 센서를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일반인들은 언제 쉽게 사용할 수 있을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재료연구원(KIMS) 정호상 박사 연구팀이 약간의 소변에 빛을 쬐어 암을 발견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한 후 현장에서 암을 진단하는 데 성공했다.
빛을 내는 광 신호에 인공지능 분석법을 적용해 정상인과 전립선암, 췌장암 환자를 99%까지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에는 포스텍 노준석 교수, 경희대 의대 최삼진 교수도 참여했다.
연구팀은 암 환자와 정상인 소변 속에 존재하는 대사체 구성성분의 차이에 주목했다. 몸속에 암세포가 증식하면 비정상적인 물질대사로 인해 정상인과 다른 대사체를 소변으로 분비하게 된다.
이 점에 주목해 소량의 소변에 빛을 쬐어 대사체의 광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 별도의 분석 과정 없이 빛을 쬐어 전립선암과 췌장암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기기는 스트립형(테이프 형태)으로 현장에서 신속하게 암을 진단할 수 있도록 했다.
소변 센서가 암 진단에 일상적으로 쓰이는 상용화는 언제 가능할까? 센서의 생산가격이 개당 100원 이하여서 대량 검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이 새로운 암 진단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관련 특허를 한국과 미국에 출원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한국재료연구원이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주요 사업으로 수행됐다.
국제 학술지인 '바이오센서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Biosensores and Bioelectronics'에 논문이 게재되어 세계 각국 연구자, 바이오기업의 주목을 받고 있다. 검증이 끝나고 특허 출원이 완료되면 본격적인 상용화에 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혈액검사만으로 췌장암을 진단할 수 없어 조기 발견이 쉽지 않다.
혈청 종양표지자검사, 초음파검사,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내시경 초음파검사(EUS),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그리고 복강경검사와 조직검사 등이 있지만 정확도를 살펴야 하는 등 검사 과정도 쉽지 않다.
지난해 12월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췌장암은 2020년에만 8414건 발생했다. 췌장암은 증상이 나타나도 복통, 체중 감소, 황달 등 다른 병과의 구별이 쉽지 않아 지나치기 쉽다.
증상이 보이면 상당히 진행된 경우다. 흡연은 주요 원인 중 하나다.
간접흡연도 피해야 한다. 당뇨병은 췌장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당뇨를 잘 관리하면서 췌장암을 의식하는 게 좋다. 육류 중심의 고지방, 고칼로리 식사를 줄이고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김용 기자 (ecok@kormedi.com)
수돗물로 코 헹군 뒤 사망… 치사율 97% ‘뇌 먹는 아메바’ 또 나왔다 (0) | 2023.03.04 |
---|---|
30년 전보다 24% 길어진 ‘음경’, 원인 알고보니… (0) | 2023.02.26 |
항암제의 놀라운 효과…"노화 방지·장수 돕는다" (0) | 2023.01.25 |
치매 치료제 효과 2배↑... 초음파로 '뇌혈관장벽 조절' 가능 (0) | 2023.01.14 |
압도적이었는데...4위까지 떨어진 위암, 왜 줄어들었을까 (0) | 2023.01.1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