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中 세계경제 1위 등극? 영원히 미국 못 넘어설 수도"

中國 동향

by 석천선생 2022. 2. 13. 14:28

본문

임송수 입력 2022. 02. 13. 14:18 수정 2022. 02. 13. 14:25 
 
블룸버그이코노믹스 전망

현재 추세로는 2030년대 초반 1위 등극

부채·고령화·국제고립 등 영향으로 성장 더딜 것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신화연합뉴스


중국이 경제 규모에서 미국을 따라잡지 못하고 만년 2위에 머무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금융위기의 위험성과 더불어 과도한 부채, 인구 고령화, 국제 고립 등 요인이 중국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 경제매체 블룸버그통신은 12일(현지시간) 지난해 7월 발표된 블룸버그경제 장기 성장률 전망치를 바탕으로 중국 경제의 장기 전망을 ‘기본 시나리오’ ‘금융위기’ ‘저성장’ 등으로 분석해 보도했다.

 

 

현재 성장 추세를 따르는 ‘기본 시나리오’에서는 중국이 막대한 연구개발(R&D) 투자에 힘입어 2030년대 초반이면 미국을 제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 반전이 생긴다. 블룸버그는 2008년부터 급증한 부채가 중국 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으며 최악의 ‘금융위기’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때 세계 경제 규모 1위 자리를 노리던 일본 역시 과도한 부채 탓에 유동성 함정에 빠져 성장세가 꺾였다는 것이다. 물론 미국 등 경제 선진국 일부도 부채 비율이 높긴 하지만 이미 그 이상의 소득 수준을 확보한 상황이다.

 

그러나 중국은 소득이 낮으면서 부채가 높다는 점에서 ‘중진국 함정’에 빠질 위험이 있다. 중진국 함정은 개발도상국이 경제성장 초기에 빠른 성장세를 보이다

 

점차 성장동력이 사라지면서 선진국과의 거리가 다시 멀어지는 현상을 뜻한다.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30%를 차지하는 부동산 경제의 몰락도 위험 요소다.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에 빠진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의 주가는 약 1년 사이에 88% 폭락했다.

 

‘제2의 헝다’ 자자오예(카이사)도 같은 기간 주가가 74% 하락했다. 이들 기업뿐 아니라 채무 의존도가 높은 다른 부동산 기업들의 이른바 ‘도미노 디폴트’가 현실화하고 있다. 결국 금융위기가 발생해 중국이 저성장 늪에 빠지면 오랜 시간이 지나도 미국의 경제 규모를 따라잡기 어려울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내다봤다.

 

금융위기라는 극단적 상황이 없더라도 중국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는 적지 않다. 블룸버그는 세 번째 ‘저성장’ 시나리오에서 국제 고립, 정치 리스크, 생산인구 감소 등 요인이 결합되면 중국 경제에 금융위기와 비슷한 수준의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유엔 세계인구 전망에 따르면 현재 9억3500만명에 달하는 15세 이상 60세 미만 경제활동인구는 2050년 6∼7억명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한자녀 정책이 폐지됐음에도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지속되는 탓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인구 증가가 2020년 204만명에서 지난해 48만명으로 줄었으며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추구하는 이른바 ‘공동부유’도 양극화와 빈곤이 없는 보편적 풍요를 확보하기보다 기업 성장을 저해하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빅테크 업체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주가는 중국 당국의 기업 길들이기 속에 지난해 1년 동안 각각 57%, 11% 하락했다.

 

블룸버그는 이로 인해 중국의 성장이 지연되면서 미국을 제치는 데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아예 그런 날이 오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