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日 결국.. '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천서, 마감시한 직전 제출

日本동향

by 석천선생 2022. 2. 1. 21:55

본문

기하영 입력 2022. 02. 01. 19:56
 
 
추천 마감 시한 직전 유네스코에 전달
정부 "민관 합동 TF 중심 체계적·전방위적인 대응 계획"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기하영 기자]일본 정부가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추천서를 냈다.

한일 양국 간에 역사논쟁이 격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내년 여름께 최종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1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열린 각의에서 2023년 세계유산 등록을 위한 일본 후보로 사도 광산을 추천하는 방안을 승인한 뒤, 이날 오후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추천서를 제출했다.

 

사도 광산은 일제 강점기에 다수의 조선인이 동원돼 가혹한 노역을 강요받은 현장이다. 일본 측은 대상 기간을 에도 시대(1603∼1867년)까지로 한정해 일제 강점기 역사를 제외한 채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올리려는 계획이다.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추천하려는 것을 강하게 반대하는 만큼 '전방위 대응'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 정부는 관계기관,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국제사회와 적극 공조해 체계적이고 전방위적인 대응을 시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외교부는 지난달 28일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공식화하자 관계기관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TF를 출범시킨 바 있다.

 

TF는 이상화 외교부 공공외교대사가 단장을 맡고 외교부와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교육부, 문화재청 등 관계부처와 유네스코 이슈에 대해 전문성과 경험 갖춘 전문가들도 참여한다.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내년 여름께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이에 앞서 내년 5월쯤 나올 유네스코 자문기관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이코모스·ICOMOS)의 권고를 통해 결과를 가늠할 수 있을 전망이다.

 

교도통신은 유네스코가 한국과 일본이 사도 광산 문제에 관해 양자 협의를 하도록 촉구하고 이로 인해 심사가 미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