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 "프랑스 원했지만 중국·러시아가 성명 채택 반대"
[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1일(현지시간) 북한의 최근 미사일 도발에 관해 회의를 열었지만, 별다른 성명 등은 나오지 않았다.
마틴 키매니 유엔 주재 케냐 대사는 이날 유엔TV로 중계된 브리핑에서 안보리가 북한 미사일 발사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안보리는 오전 11시30분부터 회의를 시작했으며, 북한 문제는 에티오피아 문제와 함께 다뤄졌다.
이번 회의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가 소집을 요구하면서 열렸다. 또 칼리드 키아리 중동·아시아·태평양 사무차장보가 이사국에 북한 문제를 브리핑한 것으로 전해졌다.
키매니 대사는 “많은 회원국이 (북한과 에티오피아) 두 상황에 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는 걸 들었다”며 “북한과 에티오피아 두 문제 모두 계속되는 우려 사항”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보리에서 계속 논의될 것”이라고 했다.
이날 에스토니아 유엔 대표부도 트위터를 통해 “안보리는 북한의 (결의) 위반을 규탄하고 불안한 활동을 끝내기를 촉구해야 한다”라고 지적했었다.
(사진=뉴시스 제공)
아일랜드 유엔 대표부 역시 “최근 미사일 발사는 매우 유감이다. 북한이 의무를 준수하고 이런 활동을 중단하며 모든 당사자와의 의미 있는 대화에 임하기를 촉구한다”라고 했다. 노르웨이 유엔 대표부도 공식 트위터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계속되는 미사일 기술 증진은 불안을 야기한다”라고 했다.
그러나 각국의 규탄에도 불구하고 이날 성명 등은 나오지 않았다. AFP에 따르면 한 유엔 안보리 소속국 외교관은 “프랑스는 공개 성명을 원했지만 러시아와 중국이 지금은 시기가 아니라고 말했다”라고 보도했다.
한편 영국, 프랑스와 함께 이번 회의 소집을 요구한 미국을 향해서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는 분위기다. AFP는 “취임한 지 8개월이 지난 후에도 조 바이든 대통령은 북한을 향해 명확한 전략을 내놓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황현규 (hhkyu@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친강 주미 중국대사 "미중, 잘 지낼 새로운 방법 찾고 있어" (0) | 2021.10.02 |
---|---|
中 군용기 38대 대만 ADIZ 진입.."사상 최대 무력 시위" (0) | 2021.10.02 |
"미국을 따라잡아라"..중국 '해양 팽창' 야심 드러낸다 (0) | 2021.08.08 |
중국은 북한문제에서 미국과 협력할까 (0) | 2021.07.31 |
"돈.인력 아낌없이 썼는데".. 중국 해군은 미국을 앞서지 못한다 (0) | 2021.07.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