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지난해 소재.부품 日本 의존도 '제자리걸음'

독도,위안부,강제징용,경제도발

by 석천선생 2021. 1. 23. 12:01

본문

지난해 소재·부품 일본 의존도 '제자리걸음'

 

조재영 입력 2021. 01. 23. 09:00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정부가 소재·부품 분야에서 대일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총력을 쏟고 있지만, 개선세가 더딘 모습이다.

 

지난해 소재·부품 대일 수입 비중은 전년과 비교할 때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 종합정보망'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소재·부품 수입액 총 1천678억달러 가운데 일본 제품은 267억9천만달러로 16.0%를 차지했다.

 

 

수입 비중 16%..전자부품 수입액 늘어

한국 - 일본 수출ㆍ수입 (PG) [권도윤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정부가 소재·부품 분야에서 대일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총력을 쏟고 있지만, 개선세가 더딘 모습이다.

 

지난해 소재·부품 대일 수입 비중은 전년과 비교할 때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 종합정보망'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소재·부품 수입액 총 1천678억달러 가운데 일본 제품은 267억9천만달러로 16.0%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2019년의 15.8%와 비교하면 소폭 상승한 수치다.

 

소재·부품 분야 대일 무역적자도 2019년 141억5천만달러에서 지난해 153억7천만달러로 확대됐다.

 

일본으로부터 수입액이 0.8% 줄었지만, 우리가 일본으로 수출한 금액도 11.2%나 급감하며 적자 폭을 키웠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일본산 전자부품 수입액은 66억달러로 전년보다 8.9% 늘어났다.

 

전자부품 가운데 메모리반도체·디지털 집적회로 반도체 등 수입은 9.9% 감소했으나, 다이오드·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 소자 등은 10.0% 늘었다.

 

일반기계부품(9.0%), 전기장비부품(1.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6.3%) 등도 지난해 수입이 증가한 품목이다.

 

섬유제품(-2.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4.6%), 1차 금속제품(-13.4%), 정밀기기부품(-9.3%)은 수입액이 감소했다.

 

지난해 국가별 수입 비중을 보면 중국산 비중은 29.3%로, 전년의 30.5%에서 하락했다. 미국산은이 기간 11.4%에서 11.02%로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 대만산 비중은 이 기간 7.2%에서 8.7%로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했다.

 

특히 대만산 전자부품 수입액은 124억2천만달러로 24.5%나 급증했다. 전자부품 가운데 전자집적회로(26.7%), 인쇄회로기판 및 전자부품 실장기판(14.9%) 등을 중심으로 상승 폭이 컸다. 대만은 한국의 5위 교역국으로, 반도체 수출이 3분의 1이 넘는다.

 

[표] 지난해 국가별 소재·부품 수입액(백만달러, %)

fusionjc@yna.co.kr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