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영 입력 2021. 01. 23. 09:00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정부가 소재·부품 분야에서 대일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총력을 쏟고 있지만, 개선세가 더딘 모습이다.
지난해 소재·부품 대일 수입 비중은 전년과 비교할 때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 종합정보망'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소재·부품 수입액 총 1천678억달러 가운데 일본 제품은 267억9천만달러로 16.0%를 차지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정부가 소재·부품 분야에서 대일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총력을 쏟고 있지만, 개선세가 더딘 모습이다.
지난해 소재·부품 대일 수입 비중은 전년과 비교할 때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 종합정보망'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소재·부품 수입액 총 1천678억달러 가운데 일본 제품은 267억9천만달러로 16.0%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2019년의 15.8%와 비교하면 소폭 상승한 수치다.
소재·부품 분야 대일 무역적자도 2019년 141억5천만달러에서 지난해 153억7천만달러로 확대됐다.
일본으로부터 수입액이 0.8% 줄었지만, 우리가 일본으로 수출한 금액도 11.2%나 급감하며 적자 폭을 키웠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일본산 전자부품 수입액은 66억달러로 전년보다 8.9% 늘어났다.
전자부품 가운데 메모리반도체·디지털 집적회로 반도체 등 수입은 9.9% 감소했으나, 다이오드·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 소자 등은 10.0% 늘었다.
일반기계부품(9.0%), 전기장비부품(1.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6.3%) 등도 지난해 수입이 증가한 품목이다.
섬유제품(-2.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4.6%), 1차 금속제품(-13.4%), 정밀기기부품(-9.3%)은 수입액이 감소했다.
지난해 국가별 수입 비중을 보면 중국산 비중은 29.3%로, 전년의 30.5%에서 하락했다. 미국산은이 기간 11.4%에서 11.02%로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 대만산 비중은 이 기간 7.2%에서 8.7%로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했다.
특히 대만산 전자부품 수입액은 124억2천만달러로 24.5%나 급증했다. 전자부품 가운데 전자집적회로(26.7%), 인쇄회로기판 및 전자부품 실장기판(14.9%) 등을 중심으로 상승 폭이 컸다. 대만은 한국의 5위 교역국으로, 반도체 수출이 3분의 1이 넘는다.
fusionjc@yna.co.kr
軍, 日의 독도침공 시나리오와 대응 문건 만들었다 (0) | 2021.02.11 |
---|---|
국방백서 파장..軍 "日 부당한 항의 받아들일 수 없다" (0) | 2021.02.03 |
(동양해), 韓國海로 표기된 2~5번 지도 (0) | 2021.01.14 |
'협의 없이 우리측 EEZ 진입' 日 해상보안청 측량선 퇴거 (0) | 2021.01.13 |
징용.위안부 이어 EEZ 충돌까지 꼬이는 韓.日 관계 (0) | 2021.01.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