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호 입력 2020.08.27. 00:03 수정 2020.08.27. 06:09
#쌍둥이 남매가 화제다. 올해 26세가 된 2020년생 지윤·도윤(가명)씨는 각각 우주와 심해를 탐험하고 있다.
지윤씨는 화성의 우주 탐사로봇에서, 도윤씨는 심해 1만m 아래까지 잠수하는 심해유인잠수정에서 차세대 통신기술을 통해 서로 교신을 시도할 예정이다.
남매는 어릴 때부터 세계 각국의 극지(極地) 프로젝트를 보고 자랐다. 이들 세대에서는 장래희망 1위가 우주인으로 나오기도 했다.
#올해 94세를 맞은 수영(가명)씨는 얼마 전 닳고 닳아 오래된 치아 대신 새로운 치아를 얻었다. 재생 줄기세포를 통해 젊은 시절의 건강한 치아가 복원됐기 때문이다.
최근엔 치아뿐 아니라 피부·뼈·간·심장 등도 인공적으로 만들어 새것으로 교체하는 게 가능해졌다. 얼마 전에는 노화된 세포의 나이를 신생아 수준으로 되돌리는 기술까지 개발됐다.
황당한 ‘공상과학’ 얘기 같지만 아니다. 위 시나리오는 정부가 광복 100주년을 맞는 오는 2045년을 시점으로 예측한 과학기술의 미래 모습 중 일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를 통해 이런 내용이 포함된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를 발표했다.
미래전략 2045에는 ‘8대 도전과제’가 있다. 전 지구적 위기로 꼽히는 기후변화와 관련해서는 고효율 친환경 에너지와 탄소 포집·저장·자원화로 온난화 속도를 늦춘다는 목표에 도전한다.
인공강우를 만들거나 태풍의 진로를 변경하는 등의 기상조절 기술을 개발하고 기상기후에 대한 ‘초정밀도 예측모델’도 개발한다. 노후화 원전을 해체하고 방사능 유출을 원천 차단하는 원자력 기술 등을 통해 안전하게 원자력을 활용한다.
궁극적으로는 핵융합 발전 실현을 목표로 한다. 폐기물 선별·자원화·에너지화 기술을 통해 ‘버리는 폐기물’에서 ‘새로운 자원인 폐기물’로 관점을 전환한다.
미세플라스틱 친환경 처리 및 플라스틱 대체신소재 개발을 통해 제로 플라스틱 사회를 구현한다.
의료 분야에서는 난치병과 뇌 질환을 극복하는 게 주요 과제다. 목표대로 된다면, 원하는 대로 유전자를 고쳐 쓰거나 줄기세포 치료 등을 통해 암, 유전 질환 등 난치병을 극복할 수도 있다.
초소형 로봇으로 몸속의 생체 변화를 감지해 질병을 예방하는 등 예방의료도 강화된다. 장기적으로 보면 뇌의 통합적 작동원리를 규명해 기억 영상화·저장·대체까지 가능해진다.
이동 수단의 패러다임도 완전히 변화된다.
유인 왕복우주비행기가 나온다면 서울~뉴욕을 2시간 내에 주파할 수 있다. 또한 국내외 도시를 단시간 내에 연결하는 하이퍼루프(진공튜브열차)를 통해 새로운 경제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
장기적으로는 극한환경 생존기술, 우주·해저도시 건설, 우주생산 및 농업 기술 등을 통해 미지의 영역까지 공간을 확장시켜 나간다.
임요업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책과장은 “이번 전략은 특정 기술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도전 과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미래전략 작업은 지난해 4월 출범한 ‘2045 미래전략위원회’와 2개 실무 분과위원회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정칠희 삼성전자 고문이 위원회를 이끌었다. 위원회 외에도 자문 전문가 그룹 등 사회 각계 분야에서 총 144명이 참여했다.
서용석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정부 차원의 과학기술 미래전략이 장밋빛 그림 그리기가 아닌 실질적 효용성을 가지려면 정권을 넘어서도 이어지는 조직을 만들어 새로운 난제와 과학기술 등에 대한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통해 전략이 수정·보완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준호 과학·미래 전문기자, 권유진 기자 joonho@joongang.co.kr
아시아 最大 規模 親環境 燃料電池 發電所 '始動 (0) | 2020.09.10 |
---|---|
이산화탄소를 '광산 폐기물' 에 저장한다 (0) | 2020.09.10 |
宇宙에서 神秘한 心搏動 現象 발견 (0) | 2020.08.23 |
금속 '망간' 먹는 박테리아 첫 발견... 에너지원으로 활용 (0) | 2020.08.23 |
항체' 치료제 개발, 백신보다 빠르타 (0) | 2020.08.2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