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원 입력 2020.07.20. 18:31
한국의 가계 빚이 적신호를 보인다.
19일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세계 39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한국이 97.9%로 가장 높았다.
1분기 한국 정부 부문의 GDP 대비 부채 비율(41.4%)은 전체 39개국 가운데 28위였다.
이어 "특히 중국, 한국, 터키, 멕시코에서 금융을 제외한 부문(가계·비금융기업) 부채의 GDP 대비 비율이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가계 빚이 적신호를 보인다. 세계 39개 주요 국가(유로존은 단일 통계) 가운데 국가 경제 규모를 고려할 때 가장 높은 부채 비율을 보였다.
부채 증가 속도 역시 상위권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대출이 급증한 영향이다.
19일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세계 39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한국이 97.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영국(84.4%), 홍콩(82.5%), 미국(75.6%), 태국(70.2%), 말레이시아(68.3%), 중국(58.8%), 유로존(58.3%), 일본(57.2%), 싱가포르(52.4%)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가계 부채 비율은 작년 1분기(92.1%)보다 5.8%포인트 높아졌다. 전년 동기 대비 오름폭은 홍콩 9%포인트, 중국 6.4%포인트에 이어 세번째로 컸다.
GDP 대비 비금융기업 부채 비율은 104.6%로 홍콩(230.7%), 중국(159.1%), 싱가포르(125.2%), 칠레(110.9%), 유로존(109.8%), 일본(106.4%)에 이어 7위였다.
이는 1년 사이 97.2%에서 7.4%포인트 뛴 것으로, 한국 기업보다 상승폭이 큰 나라는 칠레(12.5%포인트), 싱가포르(11.8%포인트), 홍콩(8.1%포인트)뿐이었다.
1분기 한국 정부 부문의 GDP 대비 부채 비율(41.4%)은 전체 39개국 가운데 28위였다. 정부 부채 증가 속도도 23위로 중위권이었다.
IIF는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경기 후퇴로 1분기 세계 GDP 대비 부채 비율이 작년 4분기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은 331%까지 치솟았다”며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특히 중국, 한국, 터키, 멕시코에서 금융을 제외한 부문(가계·비금융기업) 부채의 GDP 대비 비율이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부채 급증은 2분기에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의 ‘금융시장 동향’ 조사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이 928조9000억원으로 5월 말보다 8조1000억원 증가했다.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2월 9조3000억원, 지난 3월 역대 최대 규모인 9조6000억원 늘었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코로나 직격탄' 2分期 -3.3% 逆成長..IMF후 22년3개월만에 最惡 (0) | 2020.07.23 |
---|---|
國民年金 2039년 赤字 전환..輿論 부담에 再編 '폭탄돌리기' (0) | 2020.07.21 |
"韓國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조금 높아졌지만 여전히 日本의 90% 수준" (0) | 2020.06.30 |
공무원연금 적자 눈덩이.. 2045년엔 국민혈세 11조 들어간다 (0) | 2020.06.21 |
한국 가계 빚 눈덩이... GDP대비 증가속도 43개국 중 1위 (0) | 2020.06.2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