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Ⅴ. 친환경농업과 토양관리

유기물농업과 토양관리·친환경농업

by 석천선생 2020. 2. 3. 22:29

본문


 1. 친환경농업과 지속적 농업


  최근 농경지의 농약 및 비료과다 사용에 따른 토양 및 수질의 오염이 국가적인 문제로 제기됨에 따라 친환경농업(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및 지속가능한 농업(Sustainable agriculture)의 실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2004년까지 1993년을 기준으로 농약 50%, 비료 40%를 절감하는 환경농업법을 시행하고 있어 다수확만을 위한 현행의 화학비료 의존형, 농약 의존형 생산체계에서 탈피하여 환경친화형 저투입농업으로의 전환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친환경농업은 저투입농업, 지속가능한 농업, 청정농산물 생산, 유기농업 등 여러 가지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1980년 미국농무성(USDA)은 유기농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유기농업이란 화학적으로 합성된 비료, 농약, 생장조절제 사용을 가급적 피하고 윤작, 농업부산물, 농업외적 유기물, 경운, 천연광물 및 생물적 방제기술 등을 써서 토양을 물리적으로 보전하고 토양비옥도를 높이며 잡초 및 병해충을 방제하는 농업이다.


  특히 최근에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지속농업(Sustainable agriculture)의 정의에서는 농업의 생산성과 경제성을 크게 강조하고 있다.


즉, 지속농업은 아래의 요건을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 인류가 필요로 하는 식량과 섬유를 충분히 생산할 것
    - 환경과 자연자원의 질을 높일 것
    - 자연생태계의 순환과 조절기능을 활용할 것
    - 농업의 경제적 건실성을 향상시킬 것
    - 농민과 전체 주민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것


  지속농업 개념의 특징은 농업이 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극소화하면서도 농업의 본래 목적인 생산성과 경제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2. 우리 나라의 친환경농업 방향


  우리 나라에서는 2000년에 '환경농업육성법'을 제정함에 따라 '지속가능한 농업발전을 위해 환경과 농업을 조화시키고, 국민들의 안전농산물 욕구에 부응하며, 우수농산물 생산기반을 조성하여 농가소득을 배가시키기 위해서'이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신뢰도를 높이고 생산농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해 환경농산물에 대한 표지신고제를 실시하고 있다.


  1995년에 제정된 토양환경보전법은 토양오염의 요인이 계속 증가하고 있고 금속광산지역 등의 토양오염이 심화되고 있어 토양오염의 사전예방 및 오염된 토양의 개선 등에 관한 종합적인 관리체제를 마련함으로써 토양보전을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함이다.


  청정채소라는 개념은 이러한 환경농업정책의 기준에 따라 생산된 농산물로 파악할 수 있다.


 환경농업육성법에 의한 환경농산물은 1)

 일반 환경농산물 2)

유기농산물 3)

 전환기 유기농산물 4)

 무농약농산물 5)

저농약농산물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품질기준에 대해서는 농림부령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


  환경농산물 재배포장은 관개, 배수, 통풍 등을 비롯하여 포장 안팎으로부터 오염 우려가 없는 지역이어야 하며, 재배포장의 토양개량에 사용하는 자재 또한 투입하는 유기물 등으로부터 재배포장의 토양이 오염되지 아니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또한 작물의 생육에 가장 적합한 토양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며, 토양 비옥도를 증진, 보존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비료는 유기농산물 등을 재배, 생산함에 있어 중금속 함유량이 토양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한 토양오염우려 기준치를 초과하는 제품이거나 하수 오니, 증제 피혁분 등과 같은 중금속 함유 유기질 비료는 사용하지 안하도록 하고 있다.


  작물재배에서 사용하는 유기질비료 중 가축분뇨를 원료로 하는 유기질비료는 완전히 부숙시켜 사용하여야 하며, 가축분뇨의 과다사용, 유실 및 용탈로 인하여 환경이 오염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재배포장의 토양개량과 작물의 생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의 종류는 농림부 고시 환경농산물품질관리요령 제8조 1항에 규정하고 있다.


  무농약재배 또는 저농약재배 농산물을 생산하는 자가 작물의 영양공급을 위하여 화학비료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관할 농업기술센터 소장에게 재배포장의 토양 검정을 의뢰하여 재배포장별로 작물별 기준시비량을 추천받아야 하며, 화학비료 사용은 시비처방서의 기준량을 준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유기·자연농업 관련 농사와 사용자재들은 과학적으로 검증이 안된 상태로 민간단체회원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왕우렁이농법, 활성탄농법, 목초액, 한방영양제, 청초액비, 토착미생물 등 그 효과가 구체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영농법들이 범량하고 있는 실정이다. 


 3. 친환경 채소 생산 현황


  환경농산물의 종류는 소비자로부터 선호도가 높은 신선 채소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유기재배, 무농약재배 농산물은 상추, 쑥갓, 케일, 미나리, 신선초 등 엽·경채류가 주로 생산된다.

 
  대부분의 엽·경채류는 시설내에서 생산되고 있는데 국내의 시설채소 재배면적은 '99년말 현재 86,177ha에 이르며 총생산량은 연간 3,039천톤이었다.


  시설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지난 30년간 꾸준한 성장을 보여 왔으며 국민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신선채소류의 소비량이 증가할 것이므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증가추세가 계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0> 채소류 품질인증 현황 (2000년 1/4분기)


구   분

유    기

무 농 약

저 농 약

일    반

합    계

인증건수(건)

214

203

45

92

554

농가수(호)

189

268

223

2,167

2,847

재배면적(평)

368,142

303,375

287,417

2,745,796

3,704,730

생산계획량(톤)

6,260

15,184

5,821

8,431

35,696


*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표 21> 2000 친환경농산물표시 사용신고필증 교부내역 (1/4분기)


사용할 표시

신고자내역

재배면적

(ha)

생산계획량

(톤)

신고건수

실농가수

유      기

237

595

528.4

17,009

전환기유기

56

68

62.8

1,378

무  농  약

1,144

2,269

1,514.2

64,984

저  농  약

1,789

11,988

9,005.2

142,405

소      계

3,226

14,920

11,110.6

225,776


*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0년 3. 31 현재 친환경농산물 표시사용 신고농가는 14,920호로 전년 동기 1,696호 대비 880%로 급증하였으며, '99년말 13,764호 대비 108%로 증가하였다.



 앞으로 유기농산물 및 청정채소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환경농업실천 농가의 비율도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친환경농산물신고필증 교부 생산량은 매년 빠른 속도의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환경농업 경작면적을 근거로 생산량을 추정해 보면 '96년도 74천톤에서 '97년 103천톤으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 1/4분기에는 225천톤이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농업직불제가 '99년부터 시행됨에 따라 환경농업 참여농가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2003년에는 974천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는 전문가도 있다.



  비료의 과다시비는 단기적으로는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지 모르나 장기적으로는 농가 입장에서 볼 때 경제적 낭비일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는 환경오염의 주요 요인이 된다.


 작물별로 농가시비량과 시비기준량을 비교해 보면 질소, 인산, 칼리 모두 시비기준량을 초과하여 과다시비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표 22).



  최근에 엽채류에서 문제되고 있는 질산염을 비롯한 모든 수질 오염원들은 채소류 및 음용수에 섞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 인체에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과다시비 패턴을 탈피하여 작물별 시비요구도, 토양의 양분구성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균형시비체계의 실천이 시급한 실정이다.



<표 22> 주요 채소작물별 농가시비량과 시비기준량의 비료               (단위 : kg/10a)


작물별

시비기준량

농가시비량 (기준대비 %)

질  소

인  산

칼  리

질  소

인  산

칼  리

고  추

19

11.2

14.9

33.6(177)

21.2(189)

26.3(177)

마  늘

25

 7.7

12.8

27.1(108)

20.1(261)

21.1(165)

양  파

24

 7.7

15.4

29.1(121)

21.7(282)

20.8(135)


 4. 토양환경과 시비량 절감


  우리 나라의 비료소비 추세를 보면 비료소비량(성분량기준)이 1997년도에 421kg에 달하여 세계적으로도 비료를 많이 사용하는 국가 중의 하나이다(표 23).

<표 23> 최근의 화학비료 소비량

연도

비료소비량

(천중량톤)

소   비   량  (%)

경지면적당

소비량(kg/ha)

N

P

K

1970

1,212

356(63)

124(22)

 83(15)

563(100)

173

1980

1,679

448(54)

196(24)

184(22)

828(100)

301

1990

2,365

562(51)

256(23)

285(26)

1,104(100)

458

1997

2,132

446(51)

199(23)

237(26)

882(100)

421


* 자료 : 비료공업협회, 비료연감, 1997


 5. 병해충 방제방법의 문제점


  농약에 의한 시설원예병해충 방제체계는 지금까지 신선채소류의 연중공급을 통한 국민식생활의 질적향상에 기여한 바가 매우 컸으나 전적으로 농약에 의존하는 방제체계로 인한 부작용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문제가 되고 있다.


제한된 시설내에서의 계속된 농약사용은 각종 병해충의 농약에 대한 저항성을 유발하게 되었고 천적자원까지 도태시킴으로써 생태계의 교란을 초래하게 되었다.



  시설원예의 특성상 단작 및 연작이 계속됨에 따라 노지와는 다른 병해충 발생양상이 나타나게 되었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깨끗한 채소, 과일, 화훼류의 생산을 위해서는 연중 주기적인 약제살포에만 의존하게 되었다.



  농약의 사용을 줄이고 환경친화적인 지속적농업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온실내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에 대한 저농약 및 생물적방제기술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국내 채소류 시설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되는 해충은 표 24와 같다. 시설내에서 문제가 되는 해충은 노지에서 발생하는 해충에 비해 크기가 작고 한세대를 완료하는데 걸리는 기간이 짧아 증식이 매우 빠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농약을 사용할 경우 한두번의 방제로 경제적 피해밀도 이하로 유지시키기는 매우 힘든 특성을 가진다.


<표 24> 시설원예작물의 주요해충


작물별

구    분

해     충     명

채  소

진딧물류

목화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응애류

점박이응애, 차응애, 차먼지응애

총재벌레류

꽃노랑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나방류

작은가시들명나방, 파밤나방

선충류

고구마뿌리혹선충, 땅콩뿌리혹선충, 뿌리썩이선충, 딸기잎선충

기타

온실가루이, 아메리카잎굴파리


  최근 국내의 연구기관에서도 주요해충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천적 자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

고 있으나 그 성과는 아직 미비한 상태에 있다(표 25). 이러한 병해충의 생물학적 방제방법의 집중적인 연구뿐 아니라 저농약 또는 감농약방제를 위한 재배기술 및 신물질의 도입 방안 또는 적극적인 검토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표 25> 국내 연구기관의 생물적방제 연구 현황

기관별

대상해충

천      적

연구단계

농업과학기술원

점박이응애

칠레이리응애

농가보급

진딧물

진디벌, 진디혹파리

대량사육, 온실시험

배추좀나방

기생곰팡이

균주선발, 포장시험

온실가루이

온실가루이좀벌, 포식성곰팡이

포장시험, 균주선발

총채벌레

애꽃노린재

포장시험

뿌리혹선충

기생곰팡이

대량증식

원예연구소

진딧물

진디벌

농가보급

뿌리혹선충

기생세균

대량사육, 포트시험

호남농업시험장

진딧믈

혹파리, 칠성풀잠자리

사육기술개발, 대량사육

제주농업시험장

총채벌레

애꽃노린재

대량사육

충남농업기술원

진딧물

진디혹파리

대량사육

전북농업기술원

아메리카잎굴파리

굴파리좀벌

대량사육

전남농업기술원

차응애

긴털이리응애

대량사육

온실가루이

온실가우리좀벌

포장시험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