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토비료를 식물에 맞게 물에 녹여 희석해서 식물의 잎 표면에 분무기로 뿌려주면 됩니다.
결핍시 응급조치로 황산마그네슘 2~3%액을 10~15일 간격으로 3~4회 엽면전면에 살포한다.
고 토 비 료
1. 고토(Mg) 역할
❍ 식물의 잎을 푸르게 하는 엽록소의 구성원소
❍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만드는 광합성 작용 촉진
❍ 식물의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함
❍ 식물체 속에서 단백질이나 지방의 합성에 필요
❍ 탄수화물을 조성하여 결실을 도와줌
❍ 식물체 속에서 인산의 이동을 도와 주는 역할
❍ 산성토양에서는 마그네슘석회를, 염기성토양에서는 황산마그네슘을 토양에 시용하고 유기물을 충분히 넣어 준다.
2. 결핍증상
❍ 녹색식물의 잎이 누렇게 변하여 아래잎부터 황화됨
❍ 잎 가장자리에 갈색 또는 적갈색 점무늬가 생기는 경우가 많음
❍ 마그네슘 결핍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칼륨비료의 과다시용을 피한다.[마그네슘(Mg)과 칼륨(k) 길항작용]
❍ 결핍시 응급조치로 황산마그네슘 2~3%액을 10~15일 간격으로
3~4회 엽면전면에 살포한다.
❍ 포도나무의 마그네슘 결핍이 생기면 당도가 낮아지고 착색이 불량
하며 숙기가 지연되는 현상이 나타남
3. 황산고토비료
□ 제법
❍ 바닷물에서 식염을 만들고 난 부산물인 간수에 함유되어 있는
황산마그네슘을 영하 10℃이하로 냉각 결정시켜 만듬
❍ 사문암 분말에 황산을 넣어 제조하는 방법
❍ 카이제라이트를 이용하는 방법
□ 특징
❍ 수용성 고토가 14% 함유된 속효성 비료로 수용액은 거의 중성을
나타내지만 생리적 산성비료이다.
❍ 고토의 요구량이 많은 과수나 유지작물 및 흡수기간이 짧은 벼, 보리, 채소 등에 효과적이다.
❍ 추비로 엽면시비해도 효과적이다.
❍ 산성토양에 시용할 경우는 석회질 비료와 함께 시용하는 것이 좋다.
❍ 다른 비료와의 배합은 알카리성비료와 섞으면 물에 녹기 어려워지 므로 피하고, 유안, 과린산석회, 염화가리 등 비알카리성 비료와 혼합하도록 한다.
4. 석회고토
□ 제법
❍ 백운석을 단순 분쇄하여 분말로 한 것을 석회고토라 한다.
❍ 비중이 2.80~2.86이고, 경도는 3.5~4.0이다.
❍ 결정은 치밀한 것이 좋으며 휘염산에는 발포나 용해가 잘 안되지만 가열하면 가능하다.
❍ 석회성분(32%)외에 고토 성분(15%)이 함유되어 있어 고토의 시용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며 알카리분은 53%(석회 32%+고토 15%*
1.3914)이다.
❍ 우리나라 농업용 토양개량제 공급량의 90%를 석회고토로 공급하고 있다.
※ 고토함유비료와 고토함유량
황산고토 | 썰포마그 | 석회고토 | 용성인비 | 고토붕소 | 비고 |
수용성 14% | 수용성 17% | 가용성 15% | 구용성 12% | 구용성 14% 수용성 10% |
* 구용성 : 일반적으로 물에는 녹지 않고, 구연산암모늄 3%용액에 녹는 성질을 갖는 인산화합물의 총칭이다.
* 가용성 [可溶性, soluble] : 물이나 그 밖의 액체, 또는 낮은 온도에서도 잘 녹는 물체들이 있는데 그러한 것 들을 통틀어 가용물, 가용성 물질, 가수분해 물질이라고 한다.
* 수용성(水溶性) : 어떤 물질이 물에 용해되는 성질. 수성. 수용성 물질.
황산고토효능 (0) | 2019.10.24 |
---|---|
엽면시비의 메카니즘 (0) | 2019.09.24 |
엽면시비의 실제 (0) | 2019.09.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