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엽면시비의 실제

엽면시비의 실제

by 석천선생 2019. 9. 24. 13:14

본문

                                                                                                  

 

엽면살포에 주로 사용되는 표준시약과 사용상의 주의점 등을 표에 표시하였다.

표. 엽면살포의 표준시약과 주의점

원소

시약명

대상작물

농도(%)

비 고

질소

(N)

요소 CO(NH2) 2

,보리

1∼2

10a당 120L살포, 1%액 120L는 10a당 질소 0.7kg에 상당 추락대책에서는 유수형성기에 2%액을 살포, 횟수는 보통 1회 많아도 2회정도보리는 생육후기, 출수후의 시용이 효과가 크다

요소는 24시간 후에는 동화되는 가장 신속성이 있다

토마토

0.75

토마토는 1.8∼3%에서 약해

샐러리

1.0


채소일반
(유묘)

1∼2(0.5)

유묘에서는 90∼100L/10a, 성숙묘는 100∼120L/10a

뽕나무

0.5∼1.0

늦은 서리장해 회복에는 1%액이 좋다

0.5∼0.6

10a당 120L, 늦은 서리장해에 의한 수세회복에 효과


사과

0.5(6∼8월)

사과에서 NaNO3,KNO3,0.6%액에서 약해로 요소의 경우 소석회 1/3∼2배량 첨가 약해가 줄어든다는 사실이 인정됨살포시기가 늦으면 과실의 착색이 나쁘게 된다


감귤류

0.5

밀감에서 인산제2암모니아[(NH4)2HPO4] 0.5%액을 9월까지 3회,10∼11월은 월1회 살포로 증수한 실례 있음

인산제1암모니아(NH4H2PO4) 1%액을 식목 1.5개월후부터 1주간격으로 살포 하면 일반 과수에 효과가 있

요소의 흡수는 명암소의 영향이 적다 설탕을 첨가하면 약해를 적게 하지만 질소의 흡수량도 적다

 

원소

시약명

대상작물

농도(%)

비 고

인산

(P)

인산제1나트리움

NaH2PO 4

인산제1암모니아

NH4H2PO 4

인산제2암모니아

(NH4)2HPO 4

잎에서의 인산흡수량은 질소나 칼리보다 적다

각종작물

1∼2

0.5∼1

냉수때문에 인산의 흡수가 어려운 논에서 시용효과가 있다

살포액의 적당한 pH는 NaH2PO4 : pH3∼6, KH2PO4 : pH7∼10, NH4H2PO4 : pH3∼10, 잎에서 흡수량이 이범위에서 크다.pH2 이하에서는 흡수는 많으나 과사가 생긴다

인산화합물은 다른것과 혼용하면 변화가 생겨서 효과를 감소시키므로 주의를 요함. 전착제도 쓰지않는 것이 흡수량이 많다. 그러나 포도당,과당,설탕(1∼5%액)의 공존은 인산의 표면 흡수량을 현저히 증가한다

칼리의 살포도 고려한 인산제2칼리(K2HPO4) 0.2∼0.4%액도 이용된다. 인산제1칼리(KH2PO4), 인산칼슘은 건조상태에서는 염이 석출해서 흡수되기 어렵다.

칼리

(K)

황산칼리 K2SO 4

염화칼리 KCl

각종작물

1∼2

0.3∼1

추락논의 대책으로는 유수형성기부터 출수12일전 정도까지가 살포적기이다

깨씨무의잎마름병에서는 칼리이외에 요소와 망간을 동시에 살포하는 것이 효가가 있다

소립균핵병 대책에도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수박에서 황산가리 1%액의 예가 있지만 작물에 따라서 약해가 나타나므로 주의 요함


 

원소

시약명

대상작물

농도(%)

비 고

칼슘

(Ca)

염화칼슘 CaCl2

황산칼슘 CaSO4

각종작물

0.3∼1.2

셀러리의 속썩음증에는 0.6∼1.2%액, 토마토의 부패증에는 0.4∼0.6%액을 생장점이나 어린과일 등 발생이 예상되는 부분에 살포해서 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배추, 양배추의 속썩음증에는 완전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원소가 목질부(도관), 체관부(사관)를 자유로이 이동가능한데 반해서 칼슘은 목질부에서만 이동가능하다. 칼슘의 엽면살포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원인 중의 하나가 이때문이다.

마그

네슘 (Mg)

황산마그네슘

MgSO4·7H2O

착염화합물의 효과는 MgSO4, MgCl2보다 못하다.

채 소

과 수

0.5∼1.0

2.0

2 ∼ 4

어느것이나 여러번 살포하는 것이 좋다.

마그네슘의 엽면살포의 효과는 요소처럼 빠르지 않고 효과의 발현에는 3∼5주 요한다.

과수에서 마그네슘의 토양시비는 1∼2년후에 효과가 나타나지만 엽면살포는 효과가 빠르다.

(Fe)

황산제1철

FeSO4·2H2O

>황산제2철

Fe2(SO4) 3

착염철

각종작물

0.1∼0.3

(1∼2)

어린잎은 늙은 잎보다 약해를 받기 쉽다.

전착제의 첨가는 효과를 높여준다.

파인애플에서는 FeSO4·7H2O 2∼8%액으로 효과를 얻고 있다. 기타작물에 대해서도 좌기의 농도는 약간 약하고 때로는 1%액정도의 살포로 시험하여 사용하는 것도 좋다.

둁철은 잎중에서 이동이 매우적고 살포액이 침입한 새포만 녹색을 나타내는 일 이 많다.

 

원소

시약명

대상작물/TD>

농도(%)

비 고

망간

(Mn)

황산망간

MnSO4·4H2O

벼, 맥류

채 소

과 수

0.5∼1.0

0.3

0.25(5∼6월)

1.5(3월)

추락한 벼에 망간살포 효과는 크다.3회정도 살포한다.

생석회와 동량혼합하는 것이 좋지만 황산아연이나 황산동 보다 약해는 나타나기 어렵다.

아연과 달라서 낙엽과수에서 눈 나오기전에 살포하면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다

포도에서는 개화 12∼22일 후에 시용한다. 이 시기는 0.5% 이상에서는 약해가 난다. 지베레린과의 혼합침지처리는 약해가 나오는 일이 있으므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붕소

(B)

붕 사

Na2B4O7·10H2O

붕 산

H3BO 3

셀 러 리

유 채

포 도

기타과수

0.3∼0.4

1.0

0.6∼1.2

0.1∼0.3

붕사는 60∼70℃의 더운물에 녹여서 정해진 농도로 묽게 한다.

0.2∼0.3%에서는 같은량의 생석회를 첨가하여 사용하든가 보르드액과 혼합해서 살포한다

포도는 개화 1주∼10일전에 살포한다.

사과에서는 1주당 4g 내외의 붕사를 나무에 주입(수간주입)하면 효과가 크다.

아연 (Zn)

황산아연 ZnSO 4

산화아연 ZnO

황화아연

채 소

사 과

감 귤

일반과수

0.1∼0.5

0.3

0.5∼0.6

3.0(눈이 부풀기전)

락교에서 황산아연 0.3%액의 살포효과가 인정된 예가 있다.

과수에는 살포잔효가 있다.

로젯트증, 소엽증 등 아연결핍에 의한 이상장애의 치유에는 수간주입 이 효과가 크다.

약해방지로 생석회, 소석회의 첨가사용이 좋다.

이른봄 눈이 나오기전에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이 시기의 살포는 약해가 전연 나오지 않는다.

 

원소

시약명

대상작물

농도(%)

비 고

구리

(Cu)

황산동

CuSO4·5H2O

일반작물

과 수

0.01∼0.1

0.5 ∼0.1

(항상 소석회

동량가용)

보통작물에서는 0.1%에서도 약해를 입지만 동량의 소석회를 첨가사용하면 이것을 방지한다. 살포농도는보르드액에 준하여도 좋다.

몰리

브덴 (Mo)/TD>

몰리브덴산암모니아

(NH4)6Mo7O24·4H2O

몰리브덴산나트리움

Na2MoO4·2H2O

각종작물


0.01∼0.05

(묘상 0.07)|

밀감에서 물 18L에 몰리브덴산암모니아 1.5g∼2g(0.008∼0.01%)농도로 1∼2회 살포해서 현저한 효과가 나타났다.

농도가 0.2%되면 약해를 받는다.

감귤류에서는 여러주간에 걸처서 효과가 나타난다

철과 같이 체내에서 이동이 매우 적어서 나무아랫잎에 살포해도 윗잎에는 별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윗쪽에도 살포한다



'엽면시비의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산고토효능  (0) 2019.10.24
고토비료엽면시비방법  (0) 2019.10.24
엽면시비의 메카니즘  (0) 2019.09.24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