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베트남에 일본군이 설치한 '위안소'..프랑스군 공식문서로 확인

독도,위안부,강제징용,경제도발

by 석천선생 2019. 8. 12. 20:55

본문


권형진 기자 입력 2019.08.12. 20:42 수정 2019.08.12. 20:48 

        

2차 세계대전 당시 베트남에 주둔했던 일본군이 위안소를 설치해 운영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공식문서가 처음 발굴됐다.

조광 국사편찬위원장은 "이번 발굴 자료는 베트남지역의 일본군 위안소 설치 사실을 프랑스 공식문서를 통해 최초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일본이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동원에 대한 책임과 반성을 회피하고 있는 현실에서 더욱 큰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국사편찬위, 프랑스 해외영토자료관에서 자료 발굴·공개
'일본군 위안부 설치' 정보보고·'위안소' 표기 기지배치도
국사편찬위원회가 프랑스 해외영토자료관에서 발굴한 베트남 박닌성 지역 일본군 기지 및 위안소 배치도. 17번(동그라미)이라고 표시된 곳이 위안소다.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 뉴스1

(서울=뉴스1) 권형진 기자 = 2차 세계대전 당시 베트남에 주둔했던 일본군이 위안소를 설치해 운영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공식문서가 처음 발굴됐다. 일본 정부의 부인과 달리 위안소 설치 주체가 일본군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해주는 자료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국사편찬위원회는 프랑스 해외영토자료관(ANOM)에서 일본군이 베트남에 위안소를 설치·운영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프랑스군 문서를 발굴했다고 12일 밝혔다.


일본군이 베트남의 하이퐁과 박닌, 하노이에 위안소를 설치·운영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문서들이다. 국사편찬위는 "그동안 구술 등에서 부분적으로 알려진 베트남 지역의 일본군 위안소 설치 사실을 프랑스군 공식 문서를 통해 최초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가 독일에 패배하자 일본군은 프랑스의 나치 괴뢰정부인 비시정부와 협력해 1940년 9월 북부 베트남에 진주했다.


 1941년에는 남부 베트남까지 점령했다. 당시 일본군의 베트남 점령 루트는 북부의 하이포항을 통해 박닌, 하노이로 이어지는 경로였다. 이번에 발굴된 문서도 하이퐁과 박닌, 하노이에 설치된 위안소 자료다. 당시 일본군이 침략하는 곳마다 위안소를 설치해 운영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1940년 10월7~10일 사이 프랑스군 보고서에는 일본 육군과 해군이 하이퐁의 비엔 호숫가에 각각 위안소를 설치할 것이라는 정보 보고가 담겨 있다. 보고서는 위안소 설치에 필요한 자금 동원 루트까지 명기했다.


1940년 10월 일본 육군과 해군이 베트남 하이퐁의 비엔 호숫가에 각각 위안소를 설치할 계획이라는 정보를 보고한 프랑스군 문서의 일부분.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 뉴스1 
         

박닌성 일본군 기지 배치도와 하노이 시내의 일본군 배치도에 위안소가 표기된 사실도 확인했다. 박닌성의 일본군 기지 배치도에는 위안소가 기지 경계선에 바로 옆에 붙어 있다. 국사편찬위는 "위안소가 일본군의 직접적 통제와 관리 아래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박닌성 기지 배치도 설명에서는 장교, 하사관, 병사 등 3개 종류의 위안소를 운영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하노이 시내 위안소는 지도에 'prostituees'로 표기됐으며, 일본군 주요 시설들과 함께 시내에 설치됐다.

 

'위안부'의 존재를 추측할 수 있는 기록도 일본군 인원과 물자 수송 관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프랑스군 보고서는 1941년 2월 하이퐁항을 통해 간호사 70명과 신원 불상의 여성 25명이 도착했다고 기록했다.


국사편찬위는 "프랑스군 보고서가 일본군 관련 내용만을 추렸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여성들이 일본군과 어떠한 관련이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라며 "간호사과 구분되는 군 관련 여성들은 '위안부'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국사편찬위는 2016년부터 일본군 '위안부'·전쟁범죄 자료를 수집·편찬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조광 국사편찬위원장은 "이번 발굴 자료는 베트남지역의 일본군 위안소 설치 사실을 프랑스 공식문서를 통해 최초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일본이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동원에 대한 책임과 반성을 회피하고 있는 현실에서 더욱 큰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jinny@news1.kr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