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자체 개발한 차세대 전투기 젠(J)-20 실전 배치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공군은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5세대 전투기 J-20을 배치한 사진을 공개했다.
중국군이 J-20 실전 배치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관련해 시나망 등 중국 매체는 J-20이 동부전구에 배치됐다고 보도했다.
현시점에서 J-20의 동부전구 배치가 주목받는 이유는 우선 동부전구가 대만해협을 주된 작전 지역으로 하고, 일본과 영유권 갈등을 겪고 있는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까지 관할한다는 점 때문이다.
동부전구는 중국군에서 유일하게 '조국 통일'을 주임무로 하는 부대로, 유사시 대만 무력침공의 일선을 맡는다. 앞서 중국은 지난주 발표한 국방백서에서 대만 분리주의 독립 세력을 군사적 위협으로 적시했다.
내년 초 대선을 앞둔 대만에서는 독립노선인 여당의 반중 공세가 거세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SCMP는 "J-20은 대만해협 갈등과 이 지역 미국 해군의 활동에 대응하는 게 핵심 임무가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J-20은 중국이 국력을 쏟아 개발한 전투기로 중국산 가운데 스텔스 기능을 갖춘 첫 번째 전투기이기도 하다. 미국이 자랑하는 스텔스 전투기인 F-22, F-35 기종의 대항마로 꼽힌다.
지난 3년간 시제기 시험비행을 마친 뒤 올해부터 실전 배치를 시작한 데 이어 연내 본격적인 양산 체제에 들어간다. 찰스 브라운 미국 공군 태평양사령관은 지난 5월 미국 언론과 인터뷰하면서 중국이 J-20을 실전 배치하면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위협은 더 커지고, 중국 공군의 작전 능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미국이 중국의 J-20 실전 배치에 대응하기 위해 F-35 스텔스기를 증강 배치하거나 남중국해와 같은 전략 지역에 대한 작전 비행을 늘리는 등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중국군은 '러시아판 사드'인 S-400 2차 인도분을 계약보다 몇 달 앞당겨 받기로 했다. 중국군은 2014년 30억달러를 들여 러시아에서 S-400을 도입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지난해 7월 러시아에서 S-400 1차 인도분을 받은 후 12월에는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 러시아 타스통신에 따르면 S-400 2차분을 실은 선박이 발트해를 출발해 현재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
S-400 레이더의 최대 탐지 범위는 700㎞로, 중국군이 산둥반도에 S-400을 배치하면 한국군과 주한미군의 움직임을 손바닥 보듯이 탐지할 수 있다.
푸젠성에 설치하면 대만을 주된 탐지 대상에 넣을 수 있다. 최대 사거리가 400㎞인 S-400 요격미사일은 일반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미국의 B-2 폭격기, F-117 전폭기, F-35 전투기 등 스텔스기를 탐지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대러시아 제재 와중에 중국이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S-400 2차분 도입을 강행한 것은 미국을 향한 강력한 메시지로 해석된다. 최근 미국은 중국의 반발을 무시하고 대만에 탱크와 미사일을 판매하기로 결정했고, 반중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 홍콩에 대해서도 시위대를 지지하고 있다.
대만과 홍콩에 대한 주권이 위협받게 되자 중국이 스텔스 전투기 배치와 사드 수입을 공개해 대외적으로 강경한 태도를 내보인 셈이다.
중국에서 최신 무기체계 공개는 군사적 의미와 함께 대내 정치적 메시지도 함께 갖는다. 항공모함을 비롯한 최신 무기체계를 개발하거나 배치할 때 공산당 지도부에 대한 우호적 여론이 조성되고, 리더십이 강화되는 효과를 거두기 때문이다. 홍콩의 반중 시위가 격화한 뒤 베이징 지도부는 사태 해결과 중앙 리더십 약화 사이에서 고민해왔다.
한편 미국 알래스카주는 '안보 위협'을 이유로 중국과 맺은 에너지 협력을 전격 취소했다. SCMP에 따르면 알래스카 주정부는 중국 국유기업들과 2017년 체결한 천연가스 개발 협정을 최근 취소했다.
빌 워커 알래스카 주지사 시절 체결한 이 협정은 중국 측이 개발 비용과 사업 지분의 75%를 갖고 천연가스를 시추해 생산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하지만 신임 주지사 마이크 던리비는 안보상 이유를 들어 협정을 백지화하기로 결정했다. 구속력이 없는 협정이라 외교적 충돌 소지는 없지만, 미·중 간 신뢰 훼손과 경협 부진을 가속화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박만원 기자]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