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트럼프 당선> 군사력 증강 의지 확고/미군병력 54만으로 확대

美國동향

by 석천선생 2016. 11. 14. 14:18

본문

<트럼프 당선> 군사력 증강 의지 확고…미군 병력 54만으로 확대

미군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함정 350척, 전투기 1천200대로 각각 증강, 해외파병은 '소극적'
"IS는 쳐부숴야 할 대상"으로 강경책 천명… 러'와 우호 관계 시사

(서울=연합뉴스) 김선한 기자 = 예측을 뒤엎고 대선 고지에서 승리를 거머쥔 도널드 트럼프는 "고갈"(depleted) 상태인 미군 전력 회복에 주력할 것이 확실시된다.

트럼프는 미국이 명실상부하게 군사 최강국의 지위를 다시 확보하려면 병력과 장비 증강이 필수적이라고 주창해왔다. 현행 미군 체제가 "재앙"(disaster)이고 지휘부도 "쓰레기로 전락했다"며 강력하게 비판해온 트럼프의 군사력 증강 의지를 엿볼 수 있는 것이 지난 9월 26일 TV 토론회에서의 공방이다.

그는 이 토론회에서 국방비가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고 비판하면서 군사 강국의 지위를 유지하려면 현역 병력 규모를 지금의 47만5천 명에서 54만 명으로 증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현역 병력 증강이 이루어지면 해병대의 경우 현재보다 1만 명이 늘어나 36개의 대대를 운영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운영 기준으로 현재 277척인 해군 함정 수도 350척으로 증강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현 행정부가 오는 2020년 이후 함정 수를 308척으로 늘리겠다는 것을 훨씬 뛰어넘는다.

또 공군 전투기 운영 대수 역시 지금보다 100대 증가한 1천200대로 유지하는 한편 실전 배치된 지 50년이 넘는 B-52 전략폭격기 등 노후기의 현대화 추진 계획도 분명히 했다.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을 언급한 유세현장에서의 트럼프[AP=연합뉴스 자료 사진]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을 언급한 유세현장에서의 트럼프[AP=연합뉴스 자료 사진]


그러나 해외 분쟁에 대한 미국의 군사 개입에 대해서는 소극적이다. '재정 안보'를 우선시하려면 무리한 해외 군사 개입을 피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이유에서다.

트럼프는 공화당 전당대회 직후인 지난 7월 2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군사비로 엄청난 돈을 쓰면서도 8천억 달러(992조 4천억 원)의 (무역) 손실을 보고 있다"며 "이는 내게는 매우 현명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미군의 해외 전진배치는 바람직하긴 해도 불필요하다면서 미국 본토에서 "언제라도 배치할 수 있다"며 "이것이 훨씬 비용이 적게 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한국이 방위금 분담을 늘리지 않으면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도 언급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특히 그는 "중동에만 6조 달러(6천912조 원) 돈을 쏟아부었지만 남은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면서 "이 돈은 미국을 두 번이나 재건할 수 있는 엄청난 것"이라며, '불필요한' 개입은 아예 하지 않겠다는 뜻을 천명했다.

트럼프는 그러나 '골칫거리'인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에 대해 "쳐부숴야 할 대상"이라며 오바마 행정부보다 더 공격적이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 병합과 시리아 내전 해법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 등으로 '신'(新)냉전 상태로 돌입한 러시아에 대해 트럼프는 미군 증파 등 나토 동맹 강화로 대응하는 것에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대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우호적인 제휴'를 통해 양국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표시했다.

첨단무기 개발과 핵전력 현대화와 관련해 트럼프는 지지 의사를 밝혔다. 그는 특히 차기 대통령이 핵무기와 관련해 돌발 사태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IS 같은 세력이 미국을 기습 공격한다면 상황에 따라 핵무기도 과감히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경 태도를 보였다.

미 공군의 F-35A 스텔스 전투기[미 국방부 제공]
미 공군의 F-35A 스텔스 전투기[미 국방부 제공]


그러나 트럼프의 이런 시각에 대해 벌써 우려의 목소리가 만만찮다. 군 최고 수뇌부는 국방예산 긴축으로 F-35 스텔스 전투기, B-21 차세대 전략폭격기, 함정 건조 장기 계획 수행 등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다.

리언 파네타 전 국방부 장관, 우익성향 씽크탱크 케이토(CATO)연구소의 크리스토퍼 프레블 연구원 등 전문가들은 예산 문제로 군사력 증강과 관련한 해결책 마련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shkim@yna.co.kr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