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와 다르게 아이가 음식을 거부하거나 목 통증을 호소한다면 수족구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덥고 습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바이러스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구성되어 감염병 발병률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하고 집단생활을 하는 어린이들이 수족구병에 걸리기 쉽다.
↑ [헬스조선]사진=조선일보DB
수족구병은 손과 발, 다리, 입 속에 4~8mm 정도 크기의 수포와 퀘양, 물집이 생기는 질병이다. 손, 발, 입에 수포가 잘 생기기 때문에 수(手)족(足)구(口)병이라고 부른다. 수족구병의 원인은 콕사키 바이러스 A16, 엔테로 바이러스 71형과 같은 장 바이러스며 기온이 올라가는 여름철에 주로 발생한다. 특히 최근 빨라진 고온현상으로 인해 유행 시기도 예년보다 1~2개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유행성이며 걸리면 잘 낫지 않는다.
수족구병은 2차적으로 감염되지 않는다면 1주일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하지만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거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뇌막염과 뇌염, 마비성 환과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져 심할 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수족구병은 초기에 발열, 식욕부진, 콧물, 인후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이와 함께 구토를 심하게 하거나 정신을 차리지 못한다면 최대한 빨리 응급실에 가야 한다. 수족구병은 치료제가 따로 없어, 수액으로 영양을 공급하고 해열제로 열을 떨어뜨린다. 엔테로바이러스 71형 수족구병으로 뇌염이 생길경우 스테로이드제나 면역글로블린 투여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수족구병은 전염성이 강하므로 증상이 나타나는 동안은 어린이 집 등 어린이가 많이 모인 곳에 데려가면 안 된다. 또한 수족구 병이 완전히 나은 뒤에도 4~5일은 대변을 통해 바이러스가 나오기 때문에 아이의 물건을 자주 삶거나 소독해야 한다.
수족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익히고 손을 자주 씻어 바이러스와 세균이 우리 몸에 침투하는 것을 막아야 하며, 아이의 분변 관리도 철저하게 해야한다. 단체생활을 함께 하는 아이가 수족구병에 걸렸다면 전염성이 사라질 때까지 등원을 삼하는 것이 좋다.
"여성들 임신 늦추면 위험, 30세 전후 아이 가져야" (0) | 2014.06.09 |
---|---|
토하면 즉시 다시...갓난아이에 약 먹이는 법 (0) | 2014.06.08 |
말은 못해도...생후 2달 아기도 부모와 '소통' (0) | 2014.05.14 |
▲ 부모로 산다는 것 (0) | 2014.04.19 |
말 안듣는 아이에게 체벌,고함 역효과 (0) | 2014.04.0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