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도시농부 주말농장가이드 22 - 열무 재배 방법

각종 농작물 재배법

by 석천선생 2014. 5. 23. 21:37

본문

◑ 2014년 도시농부 주말농장 가이드 22 - 열무 재배 방법

< 자료 / 농촌진흥청, 블로그 http://blog.daum.net/tmkor, 아시아종묘사, 백과사전 >

◑ 여름에 맛있는 열무

- 학명: Raphanus sativus L.

- 원산지 : 지중해 연안, 중국

- 영명 : Radish

연하고 부드러운 맛의 열무는 원래‘어린 무’를 뜻하는‘여린 무’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에는 여름 한 철의 특산물이었지만, 지금은 시설재배로 사철 공급되고 있다. 열무로 담근 열무김치는 냉면, 비빔밥, 비빔국수 등 여름음식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없어서는 안 될 메뉴로 사랑 받고 있다. 특히 발효 식품인 열무김치는 비타민이 풍부하여 탄수화물인 보리밥에 단백질이 들어간 계란을 곁들인 비빔밥 한 그릇이면 완벽한 영양의 조화를 이룬다.

◑ 잘 자라는 환경조건

- 싹트는 온도 : 15~30℃이며 35℃이상이면 발아 곤란

- 잘 자라는 온도 : 20℃이며 13℃이하로 떨어지거나 고온이 되면 상품성 저하

· 열무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추위와 더위에 약함

- 햇빛의 세기 : 빛이 강하고 해 비치는 시기가 길수록 잘 자란다.

- 토양조건 : 통기성과 수분함량이 충분한 토양이라면 어디서든 잘 재배됨

- 토양산도 : pH 5.5~6.8로 약산성

◑ 열무의 특성

-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채소로 생육온도는 20℃ 전후지만 추위에도 강해 0℃에서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 싹 트는데 필요한 온도는 15~30℃이며 35℃이상에서는 발아하기 어려우므로 재배시기를 잘 조절해야 한다.

- 더위에는 약한 편으로 고온에서는 상품성이 떨어지고 병이 많아진다.

- 토양산도는 pH 5.5~6.8 정도의 약산성이 좋으며, 해 비치는 시간이 길수록 잎이 잘 자라 수확량이 많게 된다.

- 싹이 튼 후 13℃이하의 낮은 온도에 일정기간 처하게 되거나 해 비치는 시간이 길면 꽃눈이 생기게 되는데 떡잎이 벌어지는 시기에 특히 민감하다.

- 꽃눈이 생긴 후 온도가 올라가거나 해 비치는 시간이 길면 꽃을 피우게 되는데 꽃이 피면 대부분의 양분이 꽃으로 이동해 잎이 거의 자라지 않게 되므로 특히 봄에 재배할 때 추대가 늦은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 열무는 비교적 재배가 간단하고 자재, 노력 등은 많이 필요하지 않다.

- 재배기간이 겨울에는 60일 전후, 봄에는 40일 전후, 여름에는 25일 전후면 충분하므로 연중 여러 번 재배가 가능하다.

◑ 재배 기술

◑ 파종

흩어 뿌림이나 줄뿌림 모두 가능하며, 너무 밀식되면 도장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가능하면 솎음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파종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 유리하다.

◑ 거름주기

생육기간이 짧으므로 전량 밑거름 위주로 시비하고 생육기에 비료분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질소질 비료를 엽면시비 한다.

◑ 수확

수확기를 넘기면 겨울철 하우스 및 춘파재배 시 추대가 문제되며, 여름철에는 연부병 등 각종 병해로 인한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적기에 수확한다.

◑ 비가림 (하우스) 재배

앞 작물 재배 후 비어 있는 하우스에 비가림 재배를 하면 장마철에도 안정생산이 가능하여 품귀 시에 비싼 값에 판매할 수도 있어 최근 장마철을 전후한 비가림 재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간작(사이짓기) 형태의 열무 재배는 뒷그루 작물의 염류제거에도 효과가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 재배 시 유의점

- 열무는 재배기간이 짧고 지역적인 기호도가 많이 다르므로 지역적인 특성과 품종 고유 특성을 잘 고려하여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 봄이나 여름철에는 비를 직접 맞지 않도록 비가림 재배를 하여 신선하고 깨끗한 열무를 수확한다.

- 봄에 파종하여 재배하는 것은 추대가 문제가 되므로 추대성이 늦은 품종을 재배하고 만추대성 품종일지라도 수확을 너무 늦추거나 이상기온이 계속되면 추대하여 상품성이 없게 되므로 적기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 생육초기에 적당한 간격으로 솎음을 하고 비배관리는 밑거름 위주로 재배하되 생육기에 초세가약하면 질소비료를 엽면시비 한다.

- 병충해가 많은 시기는 망사 피복재배 또는 막덮기 재배를 하여 되도록 농약을 살포하지 않는 열무를 수확하도록 한다.

- 무공해 열무를 생산하기 위하여 비가림 재배 하우스의 모든 면을 망사 또는 한랭사 등으로 씌워서 해충이 침입하지 못하게 하면 병해충의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 키우는 방법

◑ 거름 주고 밭 만들기

열무의 양분관리는 밑거름 위주로 재배하되 생육기에 자람세가 약하다고 생각되면 질소질 비료를 엽면 시비한다. 생육기간이 짧은 여름철엔 전량 밑거름으로 준다.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면 품질이 떨어지고 병에 약해지므로 여름철엔 완숙퇴비를 주고 화학비료는 주지 않아도 좋다. 주는 량은 부숙된 퇴비를 10㎡ 당 20~30kg정도이다.

◑ 씨뿌리기

- 열무는 흩어 뿌리거나 골뿌림을 하는데 너무 밀식하면 웃자라서 품질이 낮아지므로 가능하면 솎음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소량을 파종하는 것이 좋다.

- 10㎡(3평)당 40~50㎖가 소요된다.

◑ 물주기 및 방충시설 만들기

- 여름철엔 물을 자주 줘야 하므로 점적호스나 분수호스를 설치하면 편리하지만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물조리개 등으로 건조하지 않도록 아침저녁으로 고루 뿌려주면 된다.

◑ 생리장해 및 병충해 관리

- 여름재배 시에는 장마기와 겹치는 경우가 많고 고온 다습한 조건 때문에 연부병 등의 병해가 많이 발생하여 수량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비가림을 하고 재배 포장이 침수되지 않게 배수에 유의해야 한다.

- 병충해가 많이 발생하는 여름에는 망사 또는 한냉사 등으로 씌워서 여러 가지 해충이 침입하지 못하게 하면 병해충의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 수확하기

- 씨 뿌린 후 싹이 올라온 상태를 봐서 지나치게 밀식되었으면 여름철에는 10일, 봄에는 2주일 경에 솎아주기를 한다.

- 수확기를 넘기면 이른 봄 재배 시 추대가 문제되며, 여름철에는 연부병 등 각종 병해로 인한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적기에 수확 한다.

- 봄에는 40일, 한여름에는 25일 전후로 수확이 가능하다.

◑ 이용 부위와 영양적 가치

어린잎을 이용하며 무 잎 에는 비타민 A, C 및 필수 무기질이 알맞게 들어 있어 혈액 산성화를 방지하고 식욕을 증진시키며 포만감을 주는 채소로서 보리밥과 궁합이 맞다.

◑ 맛있는 열무 고르기와 보관

맛있는 열무는 키가 작고 백리 부분이 날씬하며 잔털이 적다. 잎이 너무 가늘면 빨리 무르므로 도톰한 것이 좋다. 또 열무 고유의 짙은 색을 띠는 것이 상품성이 좋다. 생장 후 7장 정도의 잎이 난 열무의 맛이 가장 좋다. 잎이 금새 시들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먹는 것이 좋고, 보관할 경우엔 신문지나 주방 타월로 감싸 냉장 보관한다.

------------------------------------------------------------------

◑ 2014년 도시농부 주말농장 가이드는 다음과 같이 연재 됩니다.

1(2/1일)

1(2/2)

3(2/3)

4(2/4)

5(2/5)

6(2/6)

7(2/7)

8(2/8)

9(2/9)

10(2/10)

텃밭기초

상추

고추

토마토

감자

쑥갓

야콘

오이

가지

11(2/11)

12(2/12)

13(2/13)

14(2/14)

15(2/15)

16(2/16)

17(2/17)

18(2/18)

19(2/19)

20(2/20)

토란

호박

양파

마늘

치커리

딸기

잎들깨

왕토란

청경채

양상추

21(2/21)

22(2/22)

23(2/23)

24(2/24)

25(2/25)

26(2/26)

27(2/27)

28(2/28)

29(3/1)

30(3/2)

열무

근대

강낭콩

당근

배추

참외

옥수수

양배추

31(3/3)

32(3/4)

33(3/5)

34(3/6)

35(3/7)

36(3/8)

37(3/9)

38(3/10)

39(3/11)

40(3/12)

시금치

수박

비트

브로콜리

부추

미나리

히카마

여주

오크라

콜라비

---------------------------------------------------

출처 : 도시농업운동본부 & Ofica
글쓴이 : 오룡도사 원글보기
메모 :

'각종 농작물 재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콩 심는 시기   (0) 2014.05.30
[스크랩] 오이 재배법  (0) 2014.05.24
[스크랩] 텃밭 채소 기르기- 강남콩  (0) 2014.05.18
[스크랩] 콩 재배법  (0) 2014.05.18
[스크랩] 항암초(아마란스) 재배  (0) 2014.05.16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