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초(아마란스)는 남미의 페루 안데스지역이 원산이며 비듬과의 1년생
식물 종실은 식물성 스쿠알랜을 함유하고 있어 식품으로 (외국)이용되며
어린잎은 붉은 색소 추출이나 나물로 이용하여 항암초라고 불리기도 함.
여름채소로써 철분이 시금치의 2배, 비타민A, 비타민C의 함량이 많으며
쌈 배추처럼 부드러운 배추같이 보이며 잎에 힘이 있어 씹히는 맛이 좋은
새싹 채소임.
씨앗은 상당히 작음.
아마란스 파종
아마란스는 비교적 따뜻한 지역과 해볕이 많이 쪼이는 30~40도 정도의 온도
에서 잘 자란다. 특히 열대나 아열대지역의 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라는데
무기질 토양에서 낮은 토양산도는 알루미늄과 망간의 용해도가 유해할
정도로 증가한다
알루미늄은 토양내의 인과 상반되게 작용하므로 토양내의 양분은 적절해야 한다.
파종
아마란스 종자는 일반적으로 발아가 잘 되며 복토가 1Cm 이내로 얕게 파종
되고 토양온도가 20도 이상일 때는 파종 후 3~4일 이내에 출아된다. 파종량은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10a당 200~300g정도 소요된다. 파종시기는
5월상 중순이 적당하며 그 이후 부터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수량이 감소된다.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개화시기가 늦어지며 줄기의 길이, 굵기, 이삭길이
등이 감된다. 특히 유묘기때 토질이 부드럽지 않거나 비가 많이 내리고 바람
에 의해 흙이 날릴 때는 입모수가 줄어든다.
재식밀도
휴간거리는 65~75Cm가 적당하며 휴간거리가 좁으면 생육초기 잡초방제에는
좋지만 개체간의 지나친 경합으로 초장의 감소, 조기 개화와 성숙, 수량 감소
의 결과를 초래한다. 그리고 이랑너비가 좁으면 각 개체들이 가늘고 연약하게
자란다.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재식밀도는 이랑사이 65Cm에 포기사이
15Cm가 다수확에 유리하다.
시비량
질소 시비량은 성분량으로 4.5~9kg/10a가 적당하지만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
가 있다. 옥수수 또는 수수에 비하여 아마란스는 질소 시비량이 적게 들고, 초
장의 길이와 도복은 질소비료를 증시할수록 증가된다. 성숙기의 개체수와 종
실의 무게는 질소비료의 시비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병해충
해충 : 라이구스 버그, 거세미, 자벌레, 회색담배나방의 유충, 진딧물, 아마란스 바구미
병해 : 모잘록병, 줄기괘양병, 반점병
아마란스는 옥수수처럼 고온조건하에서 대기속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당으로
전환시키는 효율, 즉 광합성 효율이 높아 고온조건하에서도 왕성한 생육을 보
이는 특징이 있다. 종자의 발아와 초기뿌리의 형성을 위해 일정량의 토양수분
을 필요로하나 일단 본엽이 2∼3배정도 나오면 수분함량에 관계없이 건조한
조건하에서 잘 자란다. 실제로 아마란스는 건조하고 고온인 조건하에서 가장
잘 자라는데, 종실용 아마란스는 옥수수보다 수분요구량이 1/2∼3/5정도에 불
과하여 건조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장마기의 습해에 약하며 태
풍에 쓰러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아마란스는 보통 4월 하순부터 5월 중순 사이에 파종하는데, 국내에서는 5월
상순에 파종하는것이 적합하며 5월 하순까지는 수량감소가 적으나 그 이후에
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수량이 크게 감수된다.
개화기는 보통 6월 하순에서 8월 중하순까지로 품종에 따라 개화기의 다양한
변이를 보이며 초장은 토양비옥도에 따라 달라지나 작은 품종은 120cm정도
이고 큰 품종은 250cm정도 이다.
대다수의 종실용 품종은 분지가 없으나 분지가 10개 이상인 품종도 있으며
이삭길이는 보통 20∼60cm이고 종피색은 황색, 연한살색, 자주색이다.
[스크랩] 텃밭 채소 기르기- 강남콩 (0) | 2014.05.18 |
---|---|
[스크랩] 콩 재배법 (0) | 2014.05.18 |
[스크랩] 올해 경험한 아마란스 재배법. (0) | 2014.05.16 |
작두콩 재배법 (0) | 2014.04.15 |
[스크랩] 쪽파 재배법 (0) | 2013.09.0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