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주개발 화끈한 투자…'스페이스X'같은 민간기업 나올까

新소재,新 과학

by 석천선생 2013. 11. 30. 09:56

본문

우주개발 화끈한 투자…'스페이스X'같은 민간기업 나올까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미래부 "민간 우주산업 띄운다"…중장기 우주산업 육성책 내놔]

본문 이미지 영역
본문이미지
1단과 2단 로켓 분리 후 마지막으로 인공위성의 보호 덮개인 페어링이 분리되기 직전의 한국형 발사체 모습/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부가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 팔을 걷어부쳤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안)과 우주기술산업화 전략(안), 한국형발사체 개발계획 수정(안) 등을 26일 확정·발표했다.

한국형발사체를 2020년까지 기존 계획보다 1년 3개월 앞당겨 개발을 진행하고, 같은 해 달 탐사선(궤도선, 무인 착륙선)을 보낸다. 이후 화성(2030년)과 소행성(2040년) 탐사에도 나선다는 게 주요 골자다.

한국형발사체 개발 수정안은 박근혜 대통령의 '조기 달탐사' 공약이 영향을 미쳤다. 박 대통령이 한국형발사체 개발 일정을 서두른 건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우주산업은 '우주경제'라고 표현될만큼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영국 우주산업은 약 6조 5000억원 상당의 GDP(국내총생산) 창출에 기여했다.

이 사례를 보면 우주산업은 박근혜 정부가 7년째 국민소득 2만불대에 정체해 있는 우리 경제를 3만불로 올려놓겠다는 공약에 큰 기여를 할만한 '신무기'인 셈이다.

하지만 주무부처인 미래부 심정은 절박하다. 지금껏 유일하게 한국이 공격적으로 파고들지 않은 시장이 우주산업이었던 탓이다. 우주개발 현주소는 초라하기 그지없다. 현 우주개발 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절반 이상의 국내 기업체 매출은 10억원 미만 수준이다.

우리나라 우주산업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 중심의 단기적 우주개발 추진에 따른 민간의 생산수요 부족, 사업환경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그 규모가 매우 미약한 편이다. 2011년 기준, 세계 우주시장(195조원)에서 우리나라 점유율은 0.45%(8800억원)에 머무른 실정이다.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2020 우주개발 로드맵'이 이제 막 마련됐지만, 앞으로 잘 된다는 보장도 없다.

이런 작금의 상황에서 우리나라에서도 민간 우주화물업체인 '스페이스X'와 같은 기업이 과연 나올 수 있을까.

스페이스X는 올해 매출의 65%를 정부 지원 외 상업수주로 채우고 있다. 캐나다와 대만 ,아르헨티나 정부와 통신위성을 필요로 하는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주요 고객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이 36억 달러가 들 것으로 예상한 발사체 개발을 스페이스X는 12분의 1의 예산으로 발사체 '팔콘(Falcon)9'을 만들었다. 지난 2008년 2000만 달러로 시작한 벤처사 스페이스X는 창업 4년만에 기업가치가 24억달러에 이르렀다.

본문 이미지 영역
본문이미지
우주개발로드맵

◇민간 우주기업 육성 정책 보따리 풀어보니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지속가능한 우주개발을 위해선 결국 민간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며 "이번에 발표된 중장기 우주개발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면 민간의 개발 물량을 획기적으로 늘려줄 뿐만 아니라 우리 기업이 생산한 우주제품의 수출 지원을 통해 우주산업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미래부에 따르면 인공위성의 경우 2020년까지 총 11기를 개발해 산업체에 안정적인 개발 물량을 확보해줄 계획이다. 2040년까지 총 104기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발사체는 2020년까지 한국형발사체 4기를 개발·발사한다.

우주개발산업은 개발 초기 단계부터 산업체 참여를 대폭 확대하고, 체계종합기능을 단계적으로 산업체에 이관한다.

미래부는 또 '우주기술 전문기업 지정제'를 도입해 기술력 있는 대형업체를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산업체 기술 및 제품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우주기술 감리제도'도 도입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위주인 우주산업체 역량 결집을 위한 '우주산업진흥협회(가칭)'도 창립할 예정이다.

발사체는 저궤도위성 및 정지궤도위성과 발사서비스를 패키지로 묶어 수출하는 마케팅 전략을 추진한다. 2020년엔 다목적실용위성 2기를 수출하고, 2030년엔 다목적실용위성 3기와 중형위성 4기, 정지궤도위성 1기를 수출한다는 계획이다. 미래부는 수출확대를 위해 '정부-산업체-출연연' 합동 컨소시엄을 구성해 통합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EDCF(대외경제협력기금)을 통한 위성수출도 추진한다.
본문 이미지 영역
본문이미지
[표]연차별 인공위성 개발 물량

미래부는 민간 참여 확대를 통해 인공위성 개발 및 추가발사를 2020년 11기에서 40기(2030년), 64기(2040년)로 10년마다 늘려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우주기술산업화전략을 통해 2017년까지 국내 우주 시장 규모를 현 8800억원에서 3배 이상 늘어난 2조8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주 분야 전문 벤처창업사도 현 6개에서 50개 이상 늘고, 관련 신규 일자리도 현 856개에서 4500개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본문 이미지 영역
본문이미지
[표]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주요 기대효과

◇中·日 틈바구니에 낀 韓우주산업
이번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안 등의 추진책에 관해 전문가들은 때늦은 감을 떨치 수는 없다는 게 중론이다. 무엇보다 세계 우주 선진국과 겨룰만한 '필승카드'가 없다는 게 큰 문제다.

아시아권 우주개발 양대산맥인 일본과 중국이 엎치락뒤치락할 때 우리나라는 여전히 관전만 하고 있는 모양새다.

중국 국가국방과학기술공업국은 이르면 내달 상순 달 착륙에 도전한다. 달 탐사용 차량 로봇 '위투호(옥토끼)'를 실은 무인 달 탐사선 '창어(달의 여신)3호'가 발사돼 탐사와 관측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달 착륙에 성공한 국가는 현재까지 미국과 러시아뿐이다.

반면, 우리나라 달 궤도선·착륙선은 2020년에나 쏘아올려진다. 그것도 2조여원의 예산이 확보됐을 때 얘기다. 예산확보는 첨예한 갈등을 겪으며 가시밭길을 걷고 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한국형발사체 산업, 중이온·양성자가속기 등 거대 프로젝트로 R&D(연구개발) 예산 쏠림이 가중되면서 기초·원천연구 등 각계 분야 R&D 예산은 '찔끔' 오른 수준에 그쳐 원성이 자자한 상황이다.

일본은 최근 자체 개발한 신형 3단 고체연료 로켓 '엡실론' 발사에 성공했다. 개발비는 205억엔(한화 약 2232억원). 엡실론이 우리나라의 위협적인 존재인 까닭은 바로 가격경쟁력과 성능 때문이다.

엡실론(길이 24.4m, 무게 91t)은 1997년 이전 모델인 'M5'가 길이 30.7m, 중량 137t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경량화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발사비용도 M5의 절반 수준인 38억 엔(한화 약 413억원) 안팎으로 떨어뜨렸다.

2020년까지 개발을 완료할 한국형발사체는 해외 위성발사 수주를 통한 '상업 발사서비스' 시장을 연다는 것이 개발 취지 중 하나다. 하지만 일본보다 7년 이상 뒤떨어진 상태에서 가격과 성능을 모두 뛰어넘을 수 있는 발사체를 만들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본문 이미지 영역
본문이미지
국내 첫 민간 인공위성 제작업체 쎄트렉아이가 수주한 스페인 소형 지구관측 인공위성 'Deimos-2'/사진=쎄트렉아이

때문에 일본과 중국은 물론 미국, 러시아, 인도 등 우주기술 선진국을 빠른 시일내에 따라잡기 위해선 세계 첨단을 자랑하는 우리나라의 인접 기술을 발사체 분야에 접목하는 '스핀온'(Spin-on) 전략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김승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은 "국내 정밀기계가공, 전기전자, 재료 등의 기술을 발사체 분야에 접목하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해 더욱 우수한 발사체를 개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늘의 HOT포토][스페셜 포토][손안의 경제뉴스 머니투데이 모바일웹]

류준영기자 joon@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