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가 크거나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혈관 수축으로 인한 뇌혈관 질환자가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전조증상이 없고 언제 터질지 몰라 ‘머릿속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뇌동맥류는 파열될 경우 약 15%가 병원 도착 전에 사망하는 무서운 질병이다.
한국인의 2~5%가 앓는 뇌동맥류에 대해 이성호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의 도움말을 받아 정리했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건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의 경우 대부분 증상이 없다는 점이다. 이 교수는 “편두통이나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우연히 발견된 뇌동맥류와의 연관성을 물어오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성호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병원 제공]
당장 치료가 필요한 아주 위험한 뇌동맥류는 이미 파열이 일어난 동맥류다. 뇌동맥류가 파열된 경우에는 두개강 안에 피가 차면서 뇌를 비롯한 구조물을 압박한다. 이를 뇌지주막하출혈 혹은 뇌거미막하출혈이라고 한다.
증상은 출혈량에 따라 두통부터 급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두통의 양상은 ‘망치로 머리를 세게 맞은 듯한 느낌’으로 표현하는 환자들이 많다.
메스꺼움과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 출혈량이 많은 경우 의식저하, 혼수, 사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뇌거미막하출혈의 사망률은 약 28~35%로 매우 위험한 질병이며 치료되더라도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50% 이상이다.
뇌동맥류 파열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수술적 치료가 있다. 첫 번째는 혈관 내 치료인 ‘동맥류 코일 색전술’이고 두 번째는 개두술을 통해 직접 동맥류로 접근하는 ‘동맥류 경부 결찰술’이다.
동맥류 코일 색전술은 혈관 속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개두술이 불필요하고 접근이 힘든 부위의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개두술에 비해 재원 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간혹 재발이 일어나거나 파열됐을 때 조작이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동맥류 경부 결찰술은 주변 미세혈관을 직접 관찰할 수 있고 수술 중 파열 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재발률이 낮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다만 개두술이 필요하고 시술자가 숙련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교수는 “뇌동맥류가 진단되면 그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동맥류의 위험도가 높고 치료가 간단한 경우에는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라면서도 “동맥류의 위험도가 낮아 정밀검사나 추적 관찰이 필요 없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방문하는 환자 중 정밀 검사 없이 단순 추적 관찰을 하거나 앞으로 오지 않아도 된다고 말씀드리는 분들이 훨씬 많다”고 덧붙였다.
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치매 치료제 효과 2배↑... 초음파로 '뇌혈관장벽 조절' 가능 (0) | 2023.01.14 |
---|---|
압도적이었는데...4위까지 떨어진 위암, 왜 줄어들었을까 (0) | 2023.01.14 |
美 암 사망자 30% 줄어든 놀라운 이유… 일등공신 중 하나는 이 백신 (0) | 2023.01.14 |
70세가 노화의 갈림길' (0) | 2023.01.09 |
뇌 노화를 늦추는 뇌운동 (0) | 2023.01.0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