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日 半導體 소재 기업들 '탈일본' 지속.. 韓 輸出規制 회피 美中 紛爭對應 '두토끼'

독도,위안부,강제징용,경제도발

by 석천선생 2020. 10. 4. 11:05

본문

日 반도체 소재 기업들 '탈일본' 지속..韓 수출규제 회피·미중 분쟁 대응 '두토끼'

김종민 입력 2020.10.04. 10:00

 

한국 소재 국산화 움직임에..거래 유지위해 자국외 생산 확대
미중 기술분쟁 장기화에 대응 위해서도 생산기지 다변화 나서
해외기업의 국내 투자위해 관련 제도·규제 개선 필요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김종민 기자 = ·일본 반도체소재 기업들이 일본내에서 해외로 생산처를 다변화하며 글로벌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대(對)한국 수출규제에 대한 대응이자, 장기화되고 있는 미중 무역분쟁 등 글로벌 산업 환경변화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4일 업계와 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일본이 한국에 대한 불화수소, 폴리이미드, 레지스트 등 반도체 소재 3종에 대한 수출규제를 시행한 이후, 일본 반도체소재 업체들의 일본 외 생산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민관 차원에서 해당 반도체용 소재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면서 국산화에 성공하고 조달처를 다변화하면서 적극 대응해왔다.

이에 따라 일본 주요업체들의 대한국 수출이 줄어들고 출하량과 매출이 감소하면서, 일본기업들이 한국기업과 거래를 유지하기 위해 자국 외 생산을 점차 확대하는 추세다

.

포토레지스트 1위 업체인 일본의 JSR은 벨기에 연구센터 IMEC의 합작법인을 통해 한국에 레지스트를 계속 공급중이다.

 

신에츠화학공업은 특정기업간 거래의 경우 최대 3년간 수출허가가 필요없다는 제도적 시스템을 활용하면서 한국기업과 거래를 유지하고 있다.

 

이밖에 TOK, 간토덴카공업, 타이요 홀딩스 등이 한국에서의 생산을 통해 수출리스크를 회피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기업과 거래를 유지 중이다.

동시에 일본 반도체 소재업체들은 최근 대만 내 생산과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미중 분쟁 등 글로별 산업환경 변화와 시장경쟁 확대에 선제적 대응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서울=뉴시스] 일본 소재업체의 한국업체와 거래 유지 동향. 자료 산업연구원

반도체 제조용 소재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주요 소재기업들은 대만에 신규공장을 건설하는 등 반도체용 소재에 대한 투자를 확대에 나섰다.

 

미중 기술분쟁 장기화로 중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글로벌 생산기지 다변화를 위한 투자 중요성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일본은 반도체 관련 고순도 가스, 웨이퍼, 포토레지스트 등 주요 소재의 세계시장점유율이 50%를 상회하고 있지만 최근 한국과 중국의 추격에 대응하기 위해 선행 투자를 더욱확대하는 모습이다.

 

한국의 SK머티리얼이 고순도 불화수소를 양산하기 시작했으며, 중국의 국유기업인 중국화공집단공사는 2021년 반도체 제조용 특수가스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미쓰비시케미컬은 지난 8월 5G 인터넷서비스 수요 대응 등을 목적으로 2021년 대만에 신규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대규모 공장 신설을 통해 전체 생산능력의 50%가 확대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반도체 웨이퍼 공정용 고성능의 특수화학 솔루션 제조 능력을 확대, 세계 1위파운드리업체인 TSMC 등이 위치한 대만내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히타치 케미컬의 자회사인 히타치화성(日立化成)은 대만에 반도체 기판 소재를 제조하는 신규공장을 건설하고 지난 5월부터 가동을 시작했다.

 

미쓰이 케미컬(三井化學)은 대만에 반도체 제조공정용 특수 수지테이프를 생산하는 신규공장을 2020년 1월부터 가동하며 생산능력을 1.5배 확대했다.

 

[서울=뉴시스] 일본 주요기업들의 반도체관련 소재분야 투자 추진 현황. 자료 산업연구원

AGC는 반도체 제조용 소재인 EUV(극자외선) 마스크 블랭크의 생산능력 2배 확대를 위해 자국에 신규 생산설비를 도입하고 2022년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5G, AI 등의 확산으로 관련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AGC는 신규설비 구축을 통해 마스크 블랭크 시장점유율 50% 달성을 계획이다.

 

산업연구원은 "반도체용 핵심소재·장비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투자 여건 개선과 글로벌 공급·조달처 다변화가 요구된다"며 "반도체 등 핵심소재의 국내 개발 및 제조 기반을 강화하고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국내에 투자할 수 있도록 화평법(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화관법(화학물질관리법) 등 관련 제도, 규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미중 기술분쟁과 일본 수출규제, 디지털 변혁 등 대내외 충격과 산업여건 변화에흔들리지 않는 강건한 산업생태계 기반 마련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주요 소재·부품·장비의 글로벌 공급·조달 체계를 강화하고 글로벌밸류체인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jmkim@newsis.com

 

이슈 · 한일 수출규제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