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선 입력 2020.09.01. 10:58
인구 1천명당 활동 의사 수가 1명도 채 되지 않은 시·군·구가 45곳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250개 시군구 중 192곳(76.8%)이 평균(2.08명)에 미치지 못했고, 1천명당 활동의사 수가 1명도 채 되지 않는 시·군·구도 45곳(18%)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연합뉴스) 김철선 기자 = 인구 1천명당 활동 의사 수가 1명도 채 되지 않은 시·군·구가 45곳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문의와 일반의를 포함한 활동 의사 수는 전체 10만7천928명으로, 인구 1천 명당 평균 활동 의사 수는 2.08명으로 나타났다.
전국 250개 시군구 중 192곳(76.8%)이 평균(2.08명)에 미치지 못했고, 1천명당 활동의사 수가 1명도 채 되지 않는 시·군·구도 45곳(18%)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인구 1천명당 활동 의사 수는 강원도 고성군이 0.45명으로 가장 적었고, 강원 양양군(0.47명), 충북 단양군(0.65명), 강원 인제군(0.67명), 충북 증평군(0.67명) 등 순이었다.
반면 서울 종로구는 1천명당 의사 수가 16.29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 중구(14.66명), 부산 서구(12.67명), 광주 동구(9.91명), 서울 강남구(9.87명) 등 순으로 높았다.
전문의 진료과목별로 분석할 때, 횡성·정선·고성·양양·무주·장수·임실·담양·영양·고령·합천 등 11곳에는 산부인과 전문의가 단 한명도 없었고, 경북 봉화군에는 필수 진료과목인 외과 전문의가 없었다.
그 외에도 전문의가 없는 시군구는 진료과목별로 소아청소년과 12곳, 정신건강의학과 29곳, 재활의학과 57곳 등이었다.
이 같은 통계에 대해 최혜영 의원은 "의사 수가 매우 부족한 지역과 진료과목이 있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며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의사제 시행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전 국민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험에 빠져있는 시기에 의료인들의 파업은 자칫 국민들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정부와 의료계가 하루빨리 타협해 지역의사제를 비롯한 보건의료 정책들을 시급히 논의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kcs@yna.co.kr
"射殺 하라고요? 정말입니까?".. 우리 軍, 北통신 듣고 있었다 (0) | 2020.09.29 |
---|---|
"의사 집단 괴물로 키운 의료악법 개정해야" (0) | 2020.09.02 |
"전광훈을 왜 풀어줘서.. "再收監 요청하는 청와대 請願 등장 (0) | 2020.08.16 |
한때 폐기 대상이었던 F-15가 부활된 이유 (0) | 2020.08.09 |
美 총공세에도 中 말폭탄만..반격 안하나 못하나 (0) | 2020.08.0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