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미 기자 입력 2020.06.19. 14:41 수정 2020.06.19. 16:13
코로나19 감염 후 항체가 형성되었더라도 2~3개월밖에 지속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CNBC가 18일 보도했다.
이날 의학저널인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중국 충칭시 완저우구 소속 연구진은 무증상자 37명의 항체반응과 유증상자 37명의 항체반응을 비교했다.
그 결과 무증상자들의 항체 반응이 증상을 가진 사람들보다 더 약했고 무증상 환자의 81%가 8주 안에 중화 항체 감소를 보였다
개발 중인 코로나 백신. © 로이터=뉴스1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코로나19 감염 후 항체가 형성되었더라도 2~3개월밖에 지속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CNBC가 18일 보도했다.
이날 의학저널인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중국 충칭시 완저우구 소속 연구진은 무증상자 37명의 항체반응과 유증상자 37명의 항체반응을 비교했다.
그 결과 무증상자들의 항체 반응이 증상을 가진 사람들보다 더 약했고 무증상 환자의 81%가 8주 안에 중화 항체 감소를 보였다. 중화항체는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과 결합해 무력화시키는 항체다.
증상이 있었던 환자는 62%에서 중화항체 감소가 나타났다.
무증상자 40%는 항체를 감지할 수 없는 수준으로 떨어졌는데 이는 유증상자가 기록한 12.9%에 비해서 매우 높다.
즉 무증상 감염자의 경우 8주안에 중화항체가 감소하고 일부는 감지할 수 없는 수준까지 떨어져 외부 바이러스를 막을 수 없게 된다는 의미다.
이 연구의 규모는 작았지만 연구자들은 이 결과가 일부 세계 지도자들이 만들려고 하는 소위 '면역여권' 발행을 재고하도록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일부 국가는 코로나에 대한 항체를 가진 사람들에게 여권이나 무위험 증명서를 발급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와 비슷한 속성을 갖는다면 백신이 장기 면역력을 제공하지는 못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반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항체는 대체로 3~6개월 지속돼 1년을 넘지 못하기 때문이다.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의 대니 알트만 면역학 교수는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불과 두달 만에 항체 수치의 현저한 감소가 나타난 것은 우려할만한 점"이라고 밝혔다.
ungaungae@news1.kr
英國 옥스퍼드대 코로나19 백신 "빨라야 10월 이용 가능" (0) | 2020.06.23 |
---|---|
"코로나19 완치자 혈장, 치료에 효과적"..2만명 시험 결과 (0) | 2020.06.19 |
A형은 위험.O형은 안전..혈핵형별 코로나19 위험도 다르다? (0) | 2020.06.18 |
"北, 韓國서 '코로나 대응' 지원 못 받아 불만 UP" (0) | 2020.06.17 |
韓國,정부 대응 후 코로나 전파력 최대 33% 감소"..한국 의료진 논문, 미국 CDC 학술지 실려 (0) | 2020.06.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