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향의 원래 이름은 서향나무입니다.
꽃의 향이 천리까지 간다고 하여 천리향이라고 불립니다.
- 학명 : Daphne koreana
- 과명 : 팥꽃나무과의 상록나무
- 원산지 : 중국
- 꽃말 : 꿈 속의 사랑
* 햇빛
천리향은 반음지 식물이기 때문에
너무 강한 직사광선은 피해주시는게 좋습니다.
간접광이 드는 밝은 장소가 제일 적당합니다.
* 물주기
물을 줄 때는 겉흙이 마른 뒤에
화분 밑으로 물이 나올 때까지 충분히 줍니다.
너무 물을 자주 주어 과습하게 되면 뿌리가 상하며,
너무 물을 안 줘도 잎이 말라 떨어지게 됩니다.
* 통풍
베란다나 실내에서 키울 때는 통풍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모든 식물이 그러하듯 통풍은 식물 키우기에 중요한 요인입니다.
통풍없이 물없이 너무 건조하게 키우면 진딧물이 생기기 쉽습니다.
* 월동
천리향은 남부지방에서는 노지 월동을 할 수 있지만 중부이상에서는 월동이 불가능 합니다.
겨울에 베란다에 둘 경우에는 비닐 등으로 덮어주시는게 좋습니다.
3~4도 정도는 견딜 수 있습니다.
약간의 추위를 견디고, 버텨야 다음에 많은 꽃을 볼 수 있습니다.
* 삽목(꺽꽂이)
천리향은 삽목(꺽꽂이)이 잘 되는 편입니다.
삽목시기는 장마기가 최적이며 지난해 자란 가지를 한두마디 45도 정도 비스듬히 자른 뒤
살균용토에 삽목하여 습도를 유지해 주면 됩니다.
=======================================================================================
재배특징
적지 : 반그늘이 좋고, 토질은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다소 습한 비옥한 사질양토가 좋다. 너무 건조하면 잎이 떨어져 버리며 너무 습하면 뿌리가 썩기 쉽다. 또 평소에는 물이 잘 빠져도 큰 비가 왔을 때 물이 잠시라도 고여 있는 곳도 좋지 않다.
이식 : 적기는 6-7월의 장마 때가 활착률이 좋다. 분화초인 경우에는 대개 새싹이 트기 전으로 꽃이 다 질 무렵에 분 바꾸기하는 것이 안전하다. 5년 이상 한 자리에 심어서 방치해 둔 것이 아니면 이식이 가능하다. 이보다 더 오래된 대주를 이식하고자 할 때는 미리 삽목을 해서 모종을 만들어 두어 만일 이식이 실패하는 경우에 대비하는 것이 모주를 잃지 않는 비결이다.
전정의 필요는 없으나 1년에 20-30㎝씩 가지가 자라므로 일정한 크기이상 키우고 싶지 않을 때는 3년에 한번 정도 밑쪽의 눈을 2-3개 정도 남기고 굵은 가지를 잘라 준다. 그렇지 않을 때는 가지가 너무 길게 자라서 유난히 튀어 나온 것만 잘라서 모양을 골라 준다. 전정 시기는 7월에 꽃눈이 형성되므로 그 후에 전정하면 다음 해 꽃이 피지 않게 되므로 늦어도 화아분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전정을 끝내도록 한다.
생육환경(적지)
다소의 직사광선에는 견디나 빗긴 볕이나 오후에 그늘이 지는 곳과 같은 반그늘진 곳이 좋으며 반그늘에서 더 잘 자란다. 토질은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다소 습한 비옥한 사질양토가 좋다. 너무 건조하면 잎이 떨어져 버리며 너무 습하면 뿌리가 썩기 쉽다. 또 평소에는 물이 잘 빠져도 큰 비가 왔을 때 물이 잠시라도 고여 있는 곳도 좋지 않다. 추위와 공해에 약하고 병충해에도 약하다.
번식방법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①실생 : 7월에 성숙한 종자를 직파하면 발아율이 높다.
②삽목 : ⓐ우리 나라에서는 대개 수나무가 있어서 번식은 주로 꺾꽂이로 하며 활착률이 좋아서 죽기 쉬운 결함을 커버해 준다.
ⓑ삽목 시기는 4-5월이 좋다.
ⓒ지난해 자란 가지를 15cm 길이로 잘라 쓰든가 장마 때 새로 나온 가지 중 굳어진 것을 10cm 길이로 잘라 밑쪽 잎을 반 정도 따고 진흙 경단을 붙여 모래에 꽂든가, 그대로 진흙에 꽂아도 잘 된다.
ⓓ삽목한 것은 2년 째부터 꽃이 핀다.
병충해
백분우병: 습한 곳을 좋아하면서도 조금만 지나치면 뿌리에 발생하여 말라죽고 만다. 이 병은 잎이나 줄기가 누렇게 변하며 위축되는 병으로서 이럴 때 뿌리를 파보면 하얀 실부스러기 같은 균사가 가득 붙어 있다. 이병은 서향에는 치명적이다.
발병이 가벼울 때는 뿌리를 파고 꺼내어 발병부분을 잘라 버리고 우스풀룬 8,000 배액을 주입하고 그 부위의 흙을 바꾸어서 다시 심어 둔다. 병이 심할 때는 포기 전체를 뽑아서 태워버리고 주변의 흙을 클로르 피크린으로 소독한다.
특징
상록성의 진한 녹색 잎과 봄철에 피는 홍자색 꽃은 향기가 좋아서 나무 이름도 서향 또는 천리향이라 한다. 서향은 대부분 수나무이므로 결실하는 것을 보기 드물고, 백서향보다 약간 크다. 생장은 느린 편이며 싹트는 힘이 둔하다.
- 분포 : 남부지방에서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기타
내한성이 약한 까닭으로 남부 지방에서는 정원수로 사용하나 중부 이북에서는 주로 분화초로 가꾼다. 정원수로는 현관 앞이나 변소 앞, 식수지의 전경물 등으로 심기도 한다. 분화초로 가꾸어 1-2월에 실내에서 개화시켜 꽃 향기를 즐기나 그루가 커지게 되면 이식이 어려워 분 바꾸기 할 때 실패하기 쉽다. 정원수로나 분재로나 향기가 좋아서 수요가 많으며 대개는 분재로 재배하였다가 분에서 뽑아 정원수로 사용하므로 노지에서 다른 관상수처럼 재배하면 실패하기 쉽다.
월별 곷피는 시기 (0) | 2019.03.29 |
---|---|
목단 재배법 (0) | 2019.03.01 |
백합 키우기,백합구근 키우기,관리 (0) | 2019.02.23 |
꽃씨 파종시기 및 개화 시기 / 월별 꽃씨 파종 시기 (0) | 2017.03.02 |
구근식물 두번 피우는법?/ 구근식물 재배 방법 (0) | 2017.01.1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