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철 입력 2019.09.17. 05:00 수정 2019.09.17. 06:36
‘중동판 마셜플랜’ 한국에 손 내민 미국
중앙일보는 11일(현지시각) 아랍에미레이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린 제24회 세계에너지총회에서 복수의 유력한 에너지 업계 고위 관계자와 회동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로버트 맥팔레인 미국 워싱턴근동(近東)정책연구소 자문위원 겸 세계안보분석연구소 회장을 비롯한 5명의 미국 관계자가 지난 6월 중순 방한해 국내 원전 산업 고위 관계자와 접촉했다.
“백악관 톱레벨 시그널”
미국이 원전 수출 시장에서 한국에 손을 내민 건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상용 원전 수주전에서 입수한 정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8GW(기가와트)급 원전 2기 건설을 추진 중이다. 사우디아라비아가 5개 예비사업자(한국·미국·프랑스·중국·러시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술평가’ 부문에서, 미국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한국에 손을 내밀었다는 것이 이 소식통의 설명이다.
국제 정세 변화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당장에라도 수 개의 원전 건설 프로젝트를 일제히 추진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춘 국가는 전 세계에서 5개뿐이다.
이 중에서 미국과 경제·군사적으로 밀접하게 엮여있으면서 미국이 신뢰할 수 있는 원전 기술을 갖춘 곳은 한국밖에 없다.
익명을 요구한 에너지 업계 최고경영자(CEO)는 “국제 역학관계를 고려할 때, 한국과 미국이 지금 손을 잡으면 세계 원전 수출 시장을 사실상 과점할 기회가 열린다”며 “비록 한국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이념 때문에 소극적으로 검토하기에는 너무 큰 돈이 달려있다는 점에서 양국이 적극적으로 불씨를 살리는 게 현명하다”고 조언했다.
아부다비 = 채인택·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韓, 20년후부터 GDP 급감"..세계 유일 '0명대' 출산율의 재앙 (0) | 2019.10.12 |
---|---|
이재용 질책한 대통령 "삼성이 한화보다도 못하다" (0) | 2019.09.17 |
日빈틈 찌른 삼성·LG..갈라파고스 함정 빠진 소니 (0) | 2019.09.15 |
한국 전자산업, 일본 제치고 세계 3위..'반도체 편중' 심화 (0) | 2019.07.30 |
"올 것이 왔다"..반쪽짜리 반도체 강국의 '현주소' (0) | 2019.07.0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