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감소세였던 흡연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년도에 비해 전체적으로 약 2% 정도 증가했고, 특히 30대 남성의 흡연율은 60% 이상으로 높았다. 40~50대의 여성의 흡연도 약 2%정도 증가했다. 30~40대는 골밀도가 떨어지고, 척추의 퇴행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시기이기인데, 흡연은 골밀도를 떨어뜨리는 주범이다 더불어 비만, 음주습관이 있다면 더욱 뼈 건강에 조심해야 한다. ◇하루에 15개피, 일주일에 술 14잔 -골다공증, 무혈성 괴사 주의 자료를 좀 더 살펴보면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15개피 정도이다. 담배의 일산화탄소는 혈액속의 적혈구와 산소의 결합을 방해해, 몸에 산소가 부족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은 내부 장기뿐만 아니라 관절과 디스크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대전 튼튼병원 척추센터 김용석 병원장은 “디스크는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 데, 흡연을 하게 되면 산소가 부족해 디스크가 변성되고 또한 척추 뼈로 가는 무기질의 흡수를 방해해 뼈의 퇴행도 촉진하게 된다”며 “특히 뼈의 골절이 있을 때 흡연을 하면 뼈가 잘 붙지 않을 정도로 뼈 건강에 흡연은 해롭다”고 말했다. 흡연뿐만 아니라 주 14잔 이상 술을 마시는 고 위험음주자 역시 전체 남성의 25%, 여성의 7%로 적지 않다. 음주는 고관절의 순환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허벅지 뼈인 대퇴골의 끝부분을 대퇴골두라고 부르는데 이 대퇴골두에는 혈관의 크기가 좁고 모세혈관의 수가 적어 혈액순환이 취약하다. 헌데 알코올로 인해 혈액에 지방이 끼면 서서히 혈관이 막혀 뼈로 가는 산소 영양분을 차단하여 뼈세포와 조직이 괴사하게 된다. 대퇴골두괴사는 연간 4천 명정도 발병하고 있는데 심한 경우에는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하게 된다. 여성 음주자나 흡연자는 골다공증을 주의해야 한다. 알콜은 체외로 칼슘 배출을 촉진하기 때문에 칼슘 흡수가 나빠져 골다공증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여성은 30대 이후부터는 골밀도가 감소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골다공증 관리는 필수다. ◇칼슘섭취보다 흡수가 중요. 적정음주는 주 3회 이내의, 소주3잔 출처 : 헬스조선 |
♡ 건강에 도움되는 민간요법♡ (0) | 2012.04.07 |
---|---|
비싼 보약보다 좋은 저장양파의 효능.효과 (0) | 2012.04.06 |
혈액속의무법자 혈전 예방 5가지 (0) | 2012.03.31 |
살찌지 않는 식사법19가지 (0) | 2012.03.30 |
이제마의동의수세보원 (0) | 2012.03.3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