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북한군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만
이들이 정확히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는 아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미 국방부에서 제출한 보고서와
국방백서의 자료를 토대로 북한군의
육군, 해군, 공군의 전력
어느정도인지 또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총 1000대가 넘게 있다는 북한의 BTR-60
1. 북한의 육군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은
전차 4,500여대, 장갑차 2,500여대,
야포 8,600문, 방사포 5,500문,
지대지 유도탄 발사대 100여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4년 전보다 전차는 약 400여대, 장갑차 400여대,
방사포 400여문이 늘어난 것으로서,
북한이 재래식 전력을 포기하고
비정규전 전력에 올인하고 있다는
세간의 편견과는 달리 북한은 연간
전차 100여대, 장갑차 100여대,
방사포 100여문을 꾸준히
양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북한 미사일
아무리 낙후되었어도 '북한은 재래식 전력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북한 최고층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북한군 육군은 총 107만 여명의 병력 규모로
9개의 전·후방 군단, 2개의 기계화 군단,
평양방어사령부, 국경경비사령부, 경보지도국의
총 15개의 군단급 부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군단이하의 제대는 86개의 사단과 59개의
기동여단, 10개의 교도여단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그림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북한 육군은 평양 - 원산선 이남에
총 전력의 70%를 배치하고 있으며
170mm 자행포 및 240mm 방사포는
대한민국의 수도권 지역을
기습 선제 타격할 수 있습니다.
▲ 북한 해안포
또 백령도 인근 장산곶과 웅진반도,
연평도 근처 강령반도의 해안가를
비롯한 장재도, 무도, 대수압도 등에는
해안포 900여문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2. 북한의 공군
북한의 공군 병력은 11만명이며 전투기
820여대 정찰기 30여대 공중기동기
330여대, 헬리콥터 300여대,
훈련기 170여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공군은 굉장히 약한데 유류부족으로
정찰은 물론이고 통상적인 훈련 조차
거의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36대가량 있다는 SU-25
조종사의 연간 평균 비행 훈련 시간이
고작 10시간으로 우리나라의
10분의 1도 되지 못합니다.
또한 북한의 공군은 대체로 노후화가 되었고
쓸 수 있는 새 전투기는 몇대 안된다고 합니다.
전력 배치는 공군답게 전역에 퍼져있으나
역시 평양쪽에 많은 기지를 갖고 있고
대표적인 기지는 북서지구,
서해 평양지구, 비무장 지대 주변,
동해지구, 극동지구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북서지구의 공군력이 그나마 낫습니다.
3. 북한의 해군
해군의 병력은 6만명, 수상전투함정 420여척
잠수함정 70여척, 상륙함정 260여척,
소해정 30여척, 기타 지원함 30여척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숫자상으로는 굉장히 많지만,
수상 전투함 중 200척에 가까운 수량이
초계용으로조차 제대로 못써먹는
어뢰정입니다.
▲ 북한 상어급 잠수함
따라서 일정 해리 이상의
작전은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
질적 수준에서도 우리나라와
비교했을시 압도적인 열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점을 잠수함과
장산곶 일대의 해안포 요새화,
지대함 미사일 등으로 보완하고 있습니다.
위에 보시다시피 해군 전력의 배치는
동해와 서해에 각각 함대사를 두고 있으며
13개 전대, 2개의 해상 저격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40여개의 기지가 있습니다.
다만 미군도 알 수 없는
막강한 화력을 가진 탄도 미사일의 경우는
조심해야 하는 것이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계속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북한군의 전력과 배치 상태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봤습니다.
댓글 영역